최재해 감사원장의 공관 공사비 의혹과 관련해 더불어민주당이 감사원장을 국민권익위원회에 신고했습니다.
문재인 정부에 전방위 압박을 가하던 감사원이 이번엔 권익위 조사를 받게 되면서 공수가 뒤바뀌었다는 해석이 나옵니다.
신혜진 기자입니다.
【 기자 】
지난달, 최재해 감사원장은 자신이 사는 관사를 수리하는 비용으로 1억 원이 넘는 예산을 쓴 사실이 알려지면서 질타를 받았습니다.
관사 공사에 세금이 과하게 쓰였고, 정부 지침과 달리 '쪼개기 계약'을 했다는 논란도 불거졌습니다.
감사원이 자체 조사를 벌이겠다고 밝힌 지 한 달이 넘었지만 별다른 진척이 없자, 의혹을 처음 제기한 더불어민주당이 감사원장을 국민권익위원회에 신고했습니다.
권익위는 공직자의 부패행위에 대해 직접 조사권은 없지만, 신고를 받으면 조사에 나설 수 있고 필요할 때 수사기관에 고발도 할 수 있습니다.
신고를 접수한 권익위는 "법과 원칙에 따라 공정하게 처리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감사원으로부터 '복무 관련 사항'으로 감사를 받아오던 권익위가 이번에는 감사원을 조사하는 입장으로 공수가 바뀌었습니다.
전현희 위원장은 SNS를 통해 "정치적 편향 없이 공정한 잣대로 감사원의 의혹을 철저히 조사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다만, 불필요한 정치적 오해를 차단하기 위해 이 사건에 대해 회피신청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이에 따라 관련 업무는 윤석열 정부에서 임명된 정승윤 부패방지 업무 담당 부위원장이 대신 맡게 됐습니다.
감사원은 야당이 제기한 의혹에 대해 공관 예산 집행 실태를 살펴보고 있다며 구체적인 사실 관계 등을 확인해 국회에 보고하겠다고 밝혔습니다.
MBN 뉴스 신혜진입니다.
영상편집 : 양성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