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호응 추가 협의 가능성에 "정상회담 포함 한일협의 과정서 논의 기회 있을 것"
![]() |
↑ 일제 강제징용 피해배상 해법 발표하는 박진 장관/사진=연합뉴스 |
한국 정부가 강제징용 대법원 판결 관련 해법을 발표한 이후 일본 피고기업의 참여 문제를 두고 논란이 계속되는 가운데 외교부는 "양국 경제계에서 논의되고 있는 '미래기금'(가칭)에 피고 기업의 참여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오늘(10일) 밝혔습니다.
다만 일본 기업을 대신해 피해자들에게 배상하기로 한 국내 행정안전부 산하 재단엔 "단기간 내 피고 기업의 기여가 있을 것으로는 예상하지 않는다"고 설명했습니다.
외교부 고위당국자는 오늘 외신기자들과 만나 "일본 정부도 민간 기업의 기부는 반대하지 않는다고 한 만큼 한일 관계 진전에 따라 기여할 가능성은 닫고 있지 않다"며 이렇게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정부 발표에 대한 일반 여론을 비관적으로만은 보지 않는다"며 반대하는 피해자들에게도 "최대한 판결금을 수령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소송이 제기되면 거기에 맞게 대응할 예정"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정부의 이번 결정에 대해선 "한일 간 주고받는 협상이 아닌 협의의 결과"라며 "우리가 해법을 주도적으로 결정해 발표한 것이고 일본은 그에 대한 입장을 밝힌 것"이라고 답했습니다.
일본 정부가 우리 정부 해법 발표 후 새로운 사죄를 하지 않는 등 성의 있는 호응을 보이지 않고 있다는 비판에는 "역대 내각의 과거사 입장을 재확인하고 일관되고 충실하게 이를 이행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평가한다"고 했습니다.
또 일본 측이 추가로 성의
마지막으로 "앞으로도 계속 일본 측과 협의할 건 협의하고 국민께 설명해 드릴 것은 설명하면서 극복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김가은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kimke3998@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