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유엔 식량농업기구가 지정하는 식량 지원이 필요한 국가로 17년째 지정했습니다.
만성적인 식량 부족에 코로나까지 겹치면서 북한은 이동통신법을 개정해 외부 연락을 통제하며 민심 이반 막기에 나섰습니다.
신재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
유엔 식량농업기구 FAO가 공개한 '작황 전망과 식량 상황 분기 보고서' 입니다.
북한을 전반적으로 식량 접근이 부족한 국가로 분류하고, 외부 지원이 필요한 45개국에 포함했습니다.
이로써 북한은 2007년 첫 조사가 시작된 이후 17년 연속으로 '외부 식량 지원 필요국'의 불명예를 안았습니다.
FAO는 "지난해 평균 이하의 농업 생산량으로 악화된 경제적 제약을 고려하면 북한 식량 안보 상황은 계속 어려워질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만성적인 식량 부족에 최근에는 코로나까지 겹친 가운데 북한은 이동통신법 개정안을 의결했습니다.
휴대전화 사용자가 지켜야할 의무를 구체화한 것으로 보이는데, 휴대전화 통제를 강화해 외부 사상 유입과 민심 이반을 막으려는 의도로 풀이됩니다.
▶ 인터뷰 : 조선중앙TV
- "이동통신말단기 이용에서 지켜야 할 요구, 이동통신봉사의 중지 등을 규제한 조항들의 내용이 보다 구체화되었습니다."
또 나라를 위해 헌신하다 사망한 이들을 존대하는 '장의법'도 함께 채택하며, 주민들의 충성심 고취에도 나섰습니다.
MBN뉴스 신재우입니다.
영상편집 : 송지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