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거·혼외출산 인식 개선, 난임 지원 정책 확대, 현금 지원 등 거론
![]() |
↑ 4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보건복지인재원 서울교육센터에서 저출산 대응책 마련을 위한 2030 청년과의 긴급 간담회가 열렸다. /사진=연합뉴스 |
지난해 국내 합계 출산율이 역대 최저인 0.78명을 기록한 가운데, 정부가 오늘(4일) 청년 간담회를 열어 결혼과 임신, 출산에 대한 20~30대 청년들의 생각을 들었습니다.
보건복지부는 이날 오후 한국보건복지인재원 서울교육센터에서 이기일 제1차관 주재로, 복지부 2030 청년자문단 15명과 함께 '저출산 대응 2030 청년 긴급 간담회'를 열었습니다. 간담회는 비공개로 진행됐습니다.
이 자리에 참석한 미혼 청년들은 '왜 결혼하기를 꺼리냐'는 취지의 질문에 주로 자산 형성과 대출, 안정적 주거 마련이 어려운 점을 꼽았습니다.
이들은 부모님이 낸 축의금을 회수하는 의미로 치러지는 예식에 대한 부담, 예식장 등 비싼 결혼 비용, 결혼은 곧 출산이라는 압박감, 전통적 며느리상·사위상 등을 언급했습니다.
아울러, 결혼식 문화는 물론, 동거나 혼외 출산에 대한 인식 개선의 필요성도 거론됐습니다.
또 자녀 출산을 계획 중인 청년들은 난임 지원 정책 등이 혼인 관계의 여성에게만 집중돼 있다며, 난임 상황이나 여건, 원인 등이 다양하므로 미혼이나 남성에 대한 지원도 확대돼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자녀를 키우고 있는 청년들은 양육비 부담을
이기일 1차관은 "정부는 0명대 합계출산율이 지속되는 현재 상황에 큰 위기의식을 가지고 있다"며 "(간담회에서) 청년들이 제안한 내용을 검토해 청년들에게 필요한 정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오서연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syyoo98@yonsei.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