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기념사의 특징 그리고 한일 관계 현안과 정상회담 전망까지 정치부 황재헌 기자와 알아보겠습니다.
【 질문 1 】
연설문이 상당히 짧은 편이었죠, 핵심 키워드는 뭐였습니까?
【 기자 】
윤 대통령 특유의 간결한 연설문이었습니다.
1,300여 자로 문재인 전 대통령 마지막 3·1절 기념사의 4분의 1 수준이고 비교적 짧았다던 윤 대통령의 지난해 광복절 기념사 분량의 절반도 되지 않습니다.
가장 많이 언급된 단어는 독립이었는데요. 10번이었고, 자유는 8번, 다음으로 미래와 번영이 각각 5번, 4번 쓰였습니다.
'독립'은 3·1절 기념사라는 점을 감안하고, '자유'는 윤 대통령이 평소 강조하는 가치죠.
오히려 눈에 띄는 것은 3·1절 기념사 하면 떠오르는 단어인 과거사나 반성, 사죄라는 단어가 없었다는 점입니다.
【 질문 2 】
과거사에 대한 사죄 요구 메시지가 없는 건 드문 일이죠?
【 기자 】
그동안 대통령 3·1절 기념사에서 일본에 대한 사죄나 반성 요구는 많은 경우 포함돼왔습니다.
문재인 전 대통령은 2018년 임기 첫 3·1절 기념사에서 "위안부 문제는 가해자가 끝났다는 말을 해선 안 된다"면서 "진실한 반성"이라는 표현을 썼습니다.
박근혜 전 대통령이 2013년 3.1절 기념사에서 한 "가해자와 피해자라는 역사적 입장은 천 년 역사가 흘러도 변할 수 없는 것"이라는 발언도 유명합니다.
한일 관계를 강조했던 이명박 전 대통령도 2008년 첫 기념사에서 "역사의 진실을 결코 외면해서는 안 된다"는 표현을 했습니다.
3·1절 기념사는 대일본관이 드러나는 연설이거든요.
이번에는 직접적인 사죄 요구보다 "슬픈 역사를 잊지 말자"는 정도의 표현을 사용했습니다.
일본을 적대시하기보다 우리 마음가짐을 미래지향적으로 바꾸자는 말을 하면서 좋지 않은 한일 관계를 개선하자 뜻이 큰 것으로 보입니다.
연설 들어보겠습니다.
▶ 인터뷰 : 윤석열 / 대통령
- "우리 역사의 불행한 과거를 되새기는 한편 미래 번영을 위해 할 일을 생각해야 하는 날이 바로 오늘입니다."
대통령실 핵심관계자는 "직접 사죄를 요구하는 것은 이제 전략적으로 좋지 않다"며 "우리나라가 일본보다 도덕적 우위에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우리의 보편적 가치를 확장해 공동 번영을 이끌 방안을 고민하는 연설"이라 밝혔습니다.
【 질문 3 】
한일 간 가장 큰 이슈인 강제동원 노동자 배상 문제, 결국 이걸 빨리 풀어야겠다는 생각도 작용한 것으로 봐야겠죠?
【 기자 】
네. 박진 외교부 장관이 어제 처음으로 피해자의 유족 측과 만나 국가가 책임지겠다는 뜻을 피력했고, 협상 실무를 담당하는 다케히로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 국장이 지난 주말 비공개 방한하는 등 한일 외교당국 해법 조율에 전력을 다하고 있는데요.
다만, 피해자 측은 배상에 일본 기업이 참여하는 문제가 진전된 것이 없다고 하고 있고 일본 기업 참여 여부에 대해 일본 정부도 오늘 "노 코멘트"를 선언하면서 타결이 쉽지는 않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기념사로 찬물을 끼얹을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 것으로 보입니다.
【 질문 4 】
어쨌건 윤 대통령은 3·1절 기념사에서 일본을 최대한 배려한 셈인데요.
한일정상회담을 염두에 둔 것 아니겠습니까?
【 기자 】
4월 말 방미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진 윤 대통령은 미국으로 가기 전 대일 문제도 매듭짓길 원하는 것으로 전해졌는데요.
결국에는 배상 문제에 대한 양국 간 합의가 어느 정도 이뤄지면 이르면 3월 말, 4월 방미 전 방일을 짧게라도 진행할 것으로 보입니다.
만약 합의가 안 되고 협의만 길어지면 어차피 5월 히로시마에서 G7 정상회의가 열리거든요.
여기에 일본 측이 윤 대통령을 초청해서 한일정상회담을 여는 안이 검토될 것으로 보입니다.
【 앵커 】
지금까지 황재헌 기자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