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지난 2020년 3월 북한의 조선중앙TV가 김정은 국방위원장이 현지 지도했다고 보도한 포병 부대들의 포사격 대항 경기의 모습. / 사진 = 연합뉴스 |
북한은 어제(18일 )밤 실시한 동·서해 완충구역으로의 포병 사격이 남측의 군사적 도발에 대응한 것뿐이라는 '적반하장'식 억지 주장을 펼쳤습니다.
합동참모본부는 18일 오후 10시께부터 북한이 황해도 장산곶 일대에서 서해상으로 100여 발을, 오후 11시경부터 강원도 장전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15여 발의 포병 사격을 가한 것을 관측했다고 오늘 밝혔습니다.
동·서해상 낙탄 지점은 북방한계선(NLL) 이북 해상완충구역 이내로 이는 '9·19 군사합의' 위반입니다.
이에 대해 북한군 총참모부는 오늘(19일) 대변인 발표에서 "지난 10월 13일과 14일에 이어 18일에도 적들은 군사분계선일대에서 우리를 자극하는 군사적 도발을 또 다시 감행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어 "적들은 18일 9시 55분부터 17시 22분까지 남강원도 철원군 전연일대에서 수십발의 방사포탄을 발사했다"면서 "이에 중대한 경고를 보내기 위해 어제밤 동부와 서부전선부대들이 동, 서해상으로 위협 경고사격을 진행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북침전쟁연습인 '호국22'가 광란적으로 벌어지고 있는 시기에 감행된 이번 도발 책동을 특별히 엄중시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북한은 "적들은 전연일대의 군사적 긴장을 유발시키는 무모
앞서 지난 15일에도 북한은 14일 감행한 포병 사격에 대해 "적들의 고의적인 도발책동에 다시 한번 명백한 경고를 보내자는데 목적이 있다"면서 '적반하장'식 태도를 보인 바 있습니다.
[최유나 디지털뉴스 기자 chldbskcjstk@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