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 교수 "대표 제명 권리를 주관적인 판단에 따라 악용할 수 있어"
![]() |
↑ 이준석 국민의 힘 전 대표 / 사진 = 연합뉴스 |
진중권 광운대 특임교수가 당원권 정지 처분을 받은 이준석 국민의힘 전 대표가 당 윤리위원회의 추가 징계를 앞둔 것에 “이미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고모부로 숙청당한) 장성택 짝이 났고, 목숨만은 살려줘서 고맙다고 해야 하나”라고 비판했습니다.
20일 진 교수는 자신의 페이스북에 전여옥 전 새누리당(국민의힘 전신) 의원의 발언이 발췌된 기사를 공유하며 이와 같은 글을 썼습니다. 앞서 진 교수가 이 전 대표에 대한 추가 징계를 한 것에 대해 “여기가 북조선이냐, 최고 존엄을 모독한 죄”라고 지적하자 전 전 의원은 “만일 북조선이면 이준석은 장성택 짝이 난다”고 되받아쳤습니다.
진 교수는 전날 CBS 라디오 ‘박재홍의 한판승부’에서 이 전 대표에 대한 추가 징계를 논의 중인 국민의힘 윤리위원회를 보고 “모든 국민이 이미 결론 정해져 있는 것으로 안다”며 “사실상 한 정당의 윤리위인데 지금 위상은 북한의 정치보위부 아니면 5공 당시 국보위(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 같은 역할”이라고 비판했습니다.
그는 “당의 위신을 실추한다는 말은 굉장히 주관적인 판단이고, 만약 그러면 당 대표를 향해 ‘이 XX’, ‘저 XX’라고 한 그분부터 징계해야 하지 않나”라며 “조금 전에도 윤핵관(윤 대통령 핵심 관계자)이 얼마나 부적절한 일을 많이 했는가. 핸드폰을 노출해 거기에서 이미 다 드러났지 않았나”라고 지적했습니다.
진 교수는 “징계의 결과도 굉장히 극단적인 데다가, 과연 당원들이 뽑은 대표를 제명할 수 있는 권한을, 전화도 받지 않는다는 그분(이양희 윤리위원장)의 굉장히 자의적이고 주관적인 판단에 따라 하는 것은 권력의 도구로 악용될 수 있는 게 너무나 크고 앞으로 이런 사태가 지속해서 반복될 것”이라고 꼬집었습니다.
이어 “통합을 저해하는 건 제가 볼 땐 그쪽이다. 아무리 생각해도 이 전 대표는 윤핵관을 쳐낼 생각은 없었는데, 저 사람들은 이 전 대표를 애초에 쳐낼 생각이었다"며 "이번 사태의 본질은 권력 투쟁이고, 아예 당 바깥으로 쫓아낼 생각까지 있었느냐는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앞서 정 비대위원장과 윤리위원인 유 의원이 이 전 대표 징계 수위를 두고 문자를 주고받는 모습이 19일 보도된 바 있습니다.
해당 문자에서 정 비대위원장이 유 의원에게 “중징계 중 해당 행위 경고해야지요”라고 보냈고, 이에 유 의원은 “성 상납 부분 기소가 되면 함께 올려 제명해야죠”라고 답했습니다.
논란이 일자
그는 “8월 13일 저는 비대위원장이 아니었고, 평의원이었다”라며 “한 달여 전 오후 8시 25분에 보낸 개인 문자를 함부로 사진 찍은데다가 정확한 팩트를 짚지 않은 채 오늘 문자인 것처럼 조작해 엉뚱한 기사를 내보내 유감"이라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디지털뉴스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