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리잔수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상무위원장(왼쪽)과 김진표 국회의장이 16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회담을 마친 후 공동 언론 발표를 하며 악수하고 있다. [김호영 기자] |
김 의장은 이날 오후 국회에서 리 위원장과의 회담 후 공동언론발표를 통해 "본인은 우리나라가 한중일 정상회의 의장국임을 상기하고 3국 국회의장 회의 개최를 제안했다"며 "리 위원장은 이를 진지하게 검토하겠다고 했다. 일본 측과도 빠른 시일 내에 적절한 방식으로 소통코자 한다"고 말했다.
김 의장은 "정상 및 고위급 교류 활성화를 위한 조율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데 공감했다"며 "리 위원장과 본인은 한중 관계의 미래지향적 발전을 위해 양국 의회가 마중물 역할을 해나가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우리는 문화 콘텐츠 교류가 양 국민, 특히 젊은 세대 간 마음의 거리를 좁힐 수 있는 가장 빠르고 효과적인 방법이라는 점에 공감했다"며 "양국 국민들 간의 왕래를 더 편리하게 하기 위해 인천-상하이 구간 등을 포함한 직항편의 조속한 재개 및 증설이 필요하다는 데도 의견을 같이했다"고 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 협력이 새로운 환경에 부합한 방식으로 추진되어야 한다는 데 공감했다"며 "이를 의회 차원에서 뒷받침하기 위해 법적·제도적 지원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고 말했다.
리 위원장도 이날 김 의장과의 회담 모두발언에서 "과거를 개선하고 미래를 열어갈 새 출발점에서 중국은 한국과 지난 30년의 경험을 기반으로 큰 흐름을 잡고 우애를 다지고 안정적이고 장기적인 중·한 관계를 추진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특히, 리 위원장은 "중·한은 가까운 이웃이고 상호 협력하는 동반자"라며 "양국 수교 30년간 각 분야의 교류·협력은 풍부한 성과를 거뒀다. 연간 교역액은 3500달러를 돌파했고 인적 교류 규모도 1000만명 시대에 들어섰다"고 말했다.
리 위원장은 "국제 및 지역 이슈 속에서도 우리는 긴밀한 의사소통과 공조를 유지했다"며 "중·한 관계는 전면적이고 신속한 발전을 이룩했고, 이는 양측에게 실질적 이익을 가져다줬고 지역의 평화와 번영에도 중요한
이어 "시진핑 주석은 '중·한 관계가 이런 눈부신 성과를 이룩한 건 양측이 긴 안목을 가지고 상호 존중과 상호 신뢰, 호혜적인 개방, 포용을 견지했기 때문'이라고 평가했다"며 "이는 양국의 미래관계를 위한 근본적 지침을 제공했다"고 전했다.
[맹성규 매경닷컴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