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 / 사진 = 국회사진기자단 |
차기 당권 주자로 거론되는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이 조기 전당대회 가능성을 일축했습니다. 현재 '권성동 원톱' 체제에 힘을 실은 겁니다.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은 오늘(21일) 페이스북을 통해 "여당은 의원총회에서 결의한 대로, 현 당 대표의 의혹이 해소될 때까지는 권성동 직무 대행 체제로 흔들림 없이 나아가야 한다"며 "당 대표의 궐위가 아닌 상황에서 조기전대론은 주장하더라도 당장 실현될 수 없고 혼란만 부추길 뿐"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가 성 상납 증거인멸 교사 의혹과 관련해 '당원권 정지 6개월'이라는 중징계를 받은 상황을 '궐위'가 아닌 '사고'로 본 겁니다. 당 대표가 자리가 '궐위'일 경우 조기 전당대회가 열리지만, '사고'로 규정된다면 현재 권성동 당 대표 직무대행 체제가 계속됩니다.
안 의원은 "지금 당장은 당 지도부를 포함한 집권당의 구성원들이 모두 살얼음판을 걷는 심정으로 모범을 보이고, 내부에서부터 일치단결해서 국민의 신뢰를 회복해야 한다. 민생문제를 해결하는 책임 있는 자세를 보여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우리 국민의힘은 대선과 지방선거에서 국민들께서 연이어 승리하게 해주셨음에도 불구하고 혼란에 빠져 있다. 지난 정부의 잘못된 경제 정책과 내로남불로 실망한 국민들께서 정권교체로 지난 정권을 심판하고 새로운 정부여당에 변화를 기대하셨지만 아직 그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며 "지금은 하루 빨리 대한민국의 복합위기를 극복할 최고사령탑인 대통령을 중심으로 당정이 뭉쳐야 할 때"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정권교체는 아직도 현재진행형"이라며 "윤석열 후보와 저와의 단일화로 행정부의 정권교체는 이뤘지만, 2024년 총선에서 승리해야 만이 입법부에서 정부여당이 약속한 개혁과 민생문제 해결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다. 그것이 진정한 정권교체일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 |
↑ 국민의힘 안철수 의원과 김기현 의원이 지난 11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 참석하며 인사하고 있다 / 사진 = 국회사진기자단 |
한편, 또 다른 당권 주자로 꼽히는 김기현 국민의힘 의원은 여러 인터뷰를 통해 "특단의 위기 의식을 갖고 대응해야 한다"면서 6개월 권 직무대행 체제를 비판하며 조기 전당대회 필요성을 거론했습니다.
[윤혜주 디지털뉴스부 기자 heyjude@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