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정치권 이야기 알아보는 정치톡톡 시간입니다.
정치부 이기종 기자 나왔습니다.
【 질문 1 】
국민의힘 이준석 대표에 대한 윤리위원회가 초미의 관심인데, 개최가 예상보다 앞당겨질 수 있다고요?
【 기자 】
애초 오는 24일 또는 27일 회의가 열릴 거란 얘기가 있었죠.
그런데 당내 일각에서 이르면 수요일쯤 징계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는 말이 나옵니다.
이양희 윤리위원장이 어제 갑자기 입장문을 낸 것도 이런 관측에 힘을 싣는데요.
윤리위를 두고 말들이 많은데, 부적절한 정치적 행위를 더는 말라고 경고했거든요.
이게 곧 회의가 열린다는 신호일 수 있다는 거죠.
【 질문 1-1 】
다시 돌아가서 이 대표의 징계위는 왜 열리는 거죠?
【 기자 】
지난 4월 시민단체 등이 "이 대표가 측근을 통해 성상납 증거인멸을 시도했다"고 제소했죠.
사건의 발단은 지난해 말 한 유튜브 방송의 이 대표에 대한 성상납 의혹 제기였습니다.
방송이 나가자 이 대표가 제보자 측과 접촉해 무마에 나섰는데, 이 대표 측근인 김철근 정무실장이 지난 1월 7억 원의 투자각서까지 작성해 줬다는 게 의혹의 주된 내용입니다.
징계위에서 다루는 건, 경찰조사가 이뤄지고 있는 성상납 의혹 자체는 아니고요.
이 대표가 증거인멸을 지시했다는 의혹과 공개된 녹취 등을 통해 품위 유지 의무를 위반한 것은 아닌지 여부입니다.
【 질문 1-2 】
이준석 대표 입장은 어떤가요?
【 기자 】
성상납 의혹이 사실이 아닌데, 증거인멸을 지시하는 게 말이 되느냐 반박하고 있고요.
"어떤 징계도 받아들일 수 없다", "언론플레이를 한다"며 격앙된 반응을 보이고 있습니다.
▶ 이준석 / 국민의힘 대표 (지난 17일 YTN 라디오 '뉴스킹 박지훈입니다')
- "윤리위 운영의 세부 사항들을 그런데 어떤 윤리위원인지 모르겠지만 계속 언론에다가 제가 파악하기는 한 분인 것 같은데 계속 많은 이야기를 하고 있는데….
김철근 정무실장도 각서는 이 대표와 무관한 투자 목적이라고 해명했습니다.
▶ 김철근 / 이준석 대표 정무실장 (지난 13일 KBC '백운기의 시사1번지')
- "월 1부, 월 700만 원 정도의 이자를 준다고 했기 때문에, 투자하는 사람으로서는 정확히 지켜준다면 나쁜 조건은 아니었습니다."
【 질문 1-3 】
반발이 심한데, 징계 결정은 어떻게 이뤄집니까?
【 기자 】
윤리위 징계 수위는 낮은 것부터 경고, 당원권 정지, 탈당 권고, 제명입니다.
경고라도 받게 되면, 정치적 타격이 적지 않을 테고, 당원권 정지부터는 더 복잡해집니다.
당원권이 정지되면 당대표로 뽑힐 자격이 사라지니, 당대표직을 잃게 된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결정은 위원장을 포함한 9명의 윤리위원 만장일치가 되거나, 과반 출석에 과반 찬성이면 됩니다.
【 질문 1-4 】
당내 분위기는 어떤가요?
【 기자 】
만에 하나 당대표직을 잃게 된다면, 차기 당권주자들의 셈법은 복잡합니다.
정진석 국회부의장이나 김기현 전 원내대표는 차기 당대표 선거에 나설 수 있지만, 권성동 원내대표는 직이 있기 때문에 어렵습니다.
또, 이 대표 임기가 1년 남았기 때문에 새로운 당대표는 당헌당규를 바꾸지 않으면 잔여임기만 채울 뿐, 2년 뒤 총선 공천권 행사를 할 수 없습니다.
당내에서는 일단 이번엔 이 대표가 자리를 지킬 거란 관측이 나오는데요.
다만, 관련 의혹이 완전히 해소되지 않는다면, 임기를 다 채우지 못할 수 있다는 관측도 여전합니다.
【 질문 2 】
김건희 여사의 행보를 놓고 논란이 많은데, 어제 저녁에도 외부행사에 참여했다구요?
【 기자 】
네, 김 여사가 어제 서울 평창동에서 열린 고 심정민 소령의 추모 음악회에 참석했습니다.
심 소령은 지난 1월 전투기 추락사고로 순직했죠.
이 행사를 포함해 김 여사는 지난주 6개의 일정을 소화했는데요.
봉하마을에서 권양숙 여사를 예방했고, 여당 4선 이상 중진의원들의 부인과 오찬을 했습니다.
고 전두환 전 대통령의 부인 이순자 씨를 예방하고, 김정숙 여사도 만났죠.
【 질문 2-1 】
외부 행사에 이렇게 자주 참석한다면, 아무래도 전문 보좌인력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드는데?
【 기자 】
민주당은 오늘 또다시 성명을 내고, 김건희 여사가 조용한 내조 약속을 어겼다며 김 여사 지인을 채용해 사실상 제2부속실 기능을 부활시켰다고 비판했습니다.
김 여사 행보는 현재 3명의 인력이 지원하고 있는데, 대통령실은 지원 확대를 검토하고 있지만 제2부속실 부활은 고려하지 않고 있다는 입장을 거듭 밝혔습니다.
【 앵커멘트 】
네, 말씀 잘 들었습니다.
영상편집 : 김혜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