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 피살 공무원의 월북 발표에는 청와대 국가안보실의 개입이 있었던 정황이 속속 드러나고 있습니다.
관련 자료가 국방부 캐비닛에 일부 남아있는 상황에서 감사원이 감사에 공식 착수해 그 결과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원중희 기자입니다.
【 기자 】
국방부는 서해 피살 공무원 사건과 관련해, 사건 발생후 시신 소각을 '확인'했다는 최초 발표가 사흘 만에 '소각 추정'으로 바뀌었다고 인정했습니다.
▶ 인터뷰 : 윤형진 / 국방부 정책기획과장 (어제)
- "청와대 국가안보실로부터 사건 관련 주요 쟁점 답변 지침을 하달받아 '시신 소각이 추정되며'…."
청와대 국가안보실이 관여했다는 의혹이 나오는 대목인데, 당시 도감청 정보와 청와대 지침의 구체적인 내용이 진실을 밝히는 열쇠가 될 전망입니다.
당시 안보실 자료는 대통령기록물로 지정됐고, 국방부 캐비닛에 일부 자료가 보관돼 있지만 보안상의 이유로 공개가 어렵습니다.
이런 가운데 감사원이 특별조사국 소속 인력을 투입해 감사에 착수하기로 하면서 그 결과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감사원은 국방부장관이 군기밀이라고 소명하지 않는 한 관련 자료를 감찰할 수 있고, 자료 제출 요구권을 갖고 있습니다.
▶ 인터뷰 : 윤석열 / 대통령
- "내가 직접 관여할 문제는 아니고, 조금 더 진행되지 않겠나. 조금 더 기다려보시죠."
감사원은 지난 2010년 천안함 피격 직후 두달 동안 고강도 조사를 벌여 군의 부적절한 대응에 대해 합참의장 등 25명에 대해 징계를 요구한 바 있습니다.
감사원이 정밀점검을 예고하면서, 결과에 따라서는 여야 정치권에 거센 논란을 야기할 전망입니다.
MBN뉴스 원중희입니다. [june12@mbn.co.kr]
영상취재 : 김석호·안석준·변성중 기자
영상편집 : 김혜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