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김건희 여사가 지난달 11일 오전 서울 서초구 자택에서 윤석열 대통령 출근길 배웅에 나서고 있다 / 사진 = 대통령실 제공 |
윤석열 대통령 배우자 김건희 여사가 첫 언론 인터뷰에서 개 식용 종식을 주장했습니다.
김건희 여사는 13일 공개된 서울신문과의 인터뷰를 통해 "경제 규모가 있는 나라 중 개를 먹는 곳은 우리나라와 중국 뿐"이라며 "보편적인 문화는 선진국과 공유돼야 한다고 생각한다. 한국에 대한 반정서를 가지게 할 수 있으니까"라고 강조했습니다.
김 여사는 구체적으로 생계상 어려움을 호소하는 식용견 업계에 대해서는 "영세한 식용업체들에 업종 전환을 위한 정책 지원을 해주는 방식도 있을 것 같다"고 언급했으며 "개고기는 사실 건강에도 좋지 않다"고 했습니다. 이어 "식용 목적으로 키우는 개들은 좁은 뜰장에서 먹고 자고 배변까지 한다. 또 항생제를 먹이며 키우는 사례도 있다"고 재차 개 식용 종식을 주장하고 나섰습니다.
이어 "궁극적으로 개 식용을 안 한다는 건 인간과 가장 가까운 친구에 대한 존중의 표현이자 생명에 대한 존중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국민들로부터 정책을 제안 받았을 때 '동물학대 처벌법 강화' 의견이 가장 많은 동의를 얻은 것에 대해서는 "경제성장을 이룬 국가 중 우리나라의 동물 보호법이 가장 약하다"며 "폭력을 가한다는 건 상대를 존중하지 않는다는 의미다. 결국 동물 학대와 가정 폭력은 같은 줄기에서 나온 다른 가지일 뿐"이라고 힘줘 말했습니다.
김 여사는 '동물권 전반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끌어올릴 구상이 있느냐'는 질문을 받고 "말로만 하는 건 의미가 없다고 생각한다"며 "충분히 논의해 정책을 만드는 등 현실화하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고 본다. '윤석열 정부에서 이런 것이 발전했구나'하고 국민께서 체감할 수 있도록 하면 좋겠다"고 전했습니다.
아울러 "(윤석열 정부에서) 동물 학대와 유기견 방치 문제, 개 식용 문제 등에서 구체적 성과가 나오길 바란다"며 "사실 제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건 동물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것이다. 그러면 많은 문제가 개선될 것이라고 본다"고 말했습니다.
현재 윤 대통령 부부는 마리, 써니, 토리, 나래 등 4마리의 개와 아깽이, 나비, 노랑이 등 3마리의 고양이를 키우고 있습니다. 이 중 마리와 써니를 제외한 5마리의 반려동물은 유기됐던 경험이 있습니다.
김 여사는 "개와 고양이를 손수 키우는 일이 낭만적일 수만은 없다. 특히 7마리를 돌보는 건 중노동"이라며 "사실 남편보다 제가 더 바쁜 때도 있었다. 그땐 대통령께서 더 많이 돌보셨다. 유기견들은 용변을 집밖에 나가 보는데 남편이 살뜰하게 챙겨줬다"고 전했습니다. 덧붙여 "저희 부부는 반려동물이 자식이라고 생각한다"고도 했습니다.
또 윤 대통령이 대선 때 '강아지들 아니었으면 지난 1
한편, 김 여사는 경북 봉하마을을 찾아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의 부인 권양숙 여사를 예방하는 등 첫 단독 일정을 소화합니다.
[윤혜주 디지털뉴스 기자 heyjude@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