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구역, TPH 검출 기준치 초과…지하수는 195.4배 검출
민주, 시범개방 계획 철회 촉구…"졸속 개방"
![]() |
↑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 인근 용산공원 시범개방 부지의 모습. / 사진 = 연합뉴스 |
용산공원 시범 개방이 이틀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독성물질 오염 문제가 계속 불거지고 있습니다. 더불어민주당은 "시민 건강을 담보로 보여주기식 '쑈통'을 하고 있다"며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국토교통부는 오는 10일부터 19일까지 10일 동안 용산공원 일부 부지를 시범 개방하겠다고 지난 2일 발표했습니다. 앞서 지난 19일에도 정부는 용산공원 일부를 25일부터 시범 개방하겠다고 밝혔는데, 바로 다음날인 20일 개방 일정을 무기한 연기한 바 있습니다.
문제는 용산공원 곳곳에서 공원 조성이 가능한 기준치를 초과하는 오염물질이 검출된다는 것입니다.
10일부터 진행되는 시범 개방 부지는 최근까지 주한미군 가족들과 학생들이 사용하던 A1(스포츠필드), A4a(학교), A4b·A4f(장군숙소), A4c(병원 인근), A4d(야구장), A4e(병원) 구역입니다.
8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이수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원내대변인)에 따르면 A4c, A4d, A4e 구역에서 공원 등으로 조성할 수 있는 '1지역' 기준치를 초과한 양의 발암물질이 확인됐습니다.
A4d 구역에서는 유독성 복합물질인 TPH(석유계총탄화수소, 토양의 기름 오염 정도)와 발암물질인 비소가 각각 기준치의 8.9배, 9.4배 검출됐으며, A4e와 A4c 구역 토양도 TPH, 벤젠, 크실렌, 구리 등 유해물질로 오염됐다는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심지어 지하수에서는 TPH 농도가 정화 기준의 195.4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외에도 A4a, A4b·A4f, A1구역도 심각한 오염 정도가 확인 됐는데, TPH 기준으로 봤을 때, 기준치를 각각 23배, 29배, 36배 초과했습니다.
지난해 12월 국토교통부가 마련한 '용산공원정비구역 종합기본계획 변경계획'을 살펴보면, 용산 공원 개방은 미군이 용산기지를 반환한 뒤 7년째에 하는 것으로 나와 있습니다. 그 기간 동안 오염 정화 박업을 실시하고, 계획과 설계를 보완하기 위해서입니다.
하지만 정부는 오는 10일부터 10일간 하루 2500명씩 시범 개방한다고 밝혔습니다. 현장에 인조잔디를 깔고, 관람객 체류시간을 2시간 이내로 관리해 위험을 줄이겠다는 방침입니다.
이수진 더불어민주당 원내대변인은 8일 논평을 통해 정부의 용산공원 시범 개방에 대해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이 대변인은 "윤석열 대통령은 대통령집무실 '졸속' 이전으로 안보 공백 논란을 불러 일으키고도 반성하지 않고 용산공원을 '졸속' 개방했다"며 "시민 안전 논란을 초래하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어 "윤 대통령은 왜 이렇게 모든 것을 성급하게 결정하는지 알 수 없다"면서 "국민의 목소리를 조금도 고려하지 않는 일방통행이 윤 대통령의 국민소통 방식이라면, 이것은 소통이 아니라 '불통'"이라고 꼬집었습니다.
그러면서 용산공원 개방 계획을 즉각 철회하고 용산미군기지 정화 계획부터 다시 세울 것을 촉구했습니다.
[최유나 디지털뉴스 기자 chldbskcjstk@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