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 = 연합뉴스 |
'포스트 6·1 지방선거' 국면에서 국민의힘내 '친윤(친윤석열)' 그룹의 구심점이 어떻게 형성될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이번 지방선거에서 '윤풍(尹風)'의 위력이 확인되며 여당 내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영향력이 강화될 전망입니다.
윤 대통령과의 당 사이에서 가교 구실을 하고 집권 초반 국정 과제 수행을 뒷받침하며 때로는 바람막이 역할까지 맡을 '친윤' 그룹에 힘이 실릴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특히 '성상납 의혹' 논란 속에 당 윤리위에 회부된 이준석 대표의 거취 문제와 맞물려 조기 전당대회 개최 가능성까지 거론되면서, 당권경쟁 와중에 친윤그룹 핵심을 차지하기 위한 물밑 주도권 싸움이 치열하게 벌어질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습니다.
현재 친윤그룹 주류를 이룰 것으로 가장 많이 거론되는 인사들은 윤 대통령의 정치 입문 때부터 함께 해온 이른바 '윤핵관' (윤석열 대통령의 핵심 관계자) 들입니다.
'윤핵관'으로는 권성동 원내대표와 장제원 의원 등이 1순위로 꼽히고 윤한홍·이철규 의원 등도 함께 거론됩니다. 국민의힘 최다선인 5선의 정진석 국회 부의장도 당내 대표적인 친윤 중진으로 꼽힙니다.
당내에서는 아예 공부모임 등 의원 모임을 새로 만들어 친윤계 의원들이 목소리를 낼 수 있는 창구를 마련하자는 아이디어도 오가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 경우 특정인 몇몇에 의존하는 형태가 아닌, 더 개방적인 형태로 '친윤그룹'의 세를 늘릴 수 있습니다.
이번 분당갑 보궐선거로 원내에 재입성하는 안철수 전 대통령직인수위원장의 당권 도전 여부도 여권 내 권력 지형의 주요 변수입니다.
지난 대선 막판 극적인 단일화로 승리에 기여한 안 전 위원장은 자신의 궁극적 목표인 차기 대권을 위해 일단 당권부터 잡아 당내 기반 확대를 꾀할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있습니다.
이번 정부 인수위원장을 맡으며 윤석열 정부의 초반 정책을 총지휘한 만큼 윤 대통령 및 대통령실과의 관계설정에도 문제가 없을 거라는 분석도 나옵니다.
또 다른 변수는 이준석 대표입니다.
당 윤리위는 이달 말 전체 회의를 열어 이 대표에 대한 징계 논의를 재개할 예정으로 알려졌습니다.
국민의힘 당헌은 궐위된 당 대표의 잔여 임기가 6개월 미만일 경우 원내대표가 그 직을 승계하고, 6개월 이상이면 임시전대를 열어 당 대표를 뽑되 임기는 전임 대표의 잔여 임기로 하게 돼 있습니다.
내년 6월까지가 임기인 이 대표가 만약 이달 말 징계를 받고 물러난다면 새로 뽑힐 지도부의 임기도 그때까지인 셈입니다. 이 경우
당의 한 관계자는 5일 "이 대표가 대선과 지방선거를 승리로 이끌었다는 명분을 내세워 징계 이후 불명예 퇴진보다는 대신 자진 사퇴 형식으로 물러난 다음 해외 유학을 떠나는 시나리오도 거론된다"고 밝혔습니다.
[디지털뉴스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