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당 "강민진 성폭력 사건 송구"
"성폭력·성추행·성희롱은 아니라고 판단"
"당 지도부의 묵살과 은폐는 사실 무근"
![]() |
↑ 강민진 전 청년정의당 대표 / 사진 = 매일경제 |
강민진 전 청년정의당 대표가 정의당 내에서 성폭력을 당했다고 폭로하자, 정의당은 "사실관계 확인 및 엄정한 징계 절차를 밟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김종철 전 정의당 대표가 성추행으로 물러난 지 1년 4개월 만에 다시 당 내 성폭력 사건이 발생하며 정의당은 위기를 맞았습니다.
이동영 정의당 수석대변인은 오늘(17일) 국회 소통관에서 긴급 대표단회의 결과를 브리핑했습니다. 이 수석대변인은 "지난 13일 당직자 성폭력 사건 관련 당기위원회 제소 건에 대해서 당은 무관용 원칙과 당규에 따라 사실관계 확인 및 엄정한 징계 절차를 밟을 것"이라며 "당 내 성폭력 사건이 재발한 데 대해서 대단히 안타깝고 송구하게 생각한다"고 전했습니다.
앞서 강 전 대표가 전날(16일) 자신의 SNS를 통해 "청년정의당 당직자로부터 성폭력을 당했고, 지난해 11월 대선을 앞두고 열린 전국행사 뒷풀이 자리에서 모 광역시도당 위원장은 제 허벅지에 신체 접촉을 했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특히 첫 성폭력 피해가 발생했을 당시 당 지도부의 묵살이 있었다는 주장을 했습니다. 여영국 대표 등에게 처음 공식적으로 해당 사건을 알렸지만 공식 절차를 밟지 않고 해당 위원장에게 경고를 할 테니 이 일에 대해 발설하지 말라고 했다는 게 강 전 대표의 주장입니다.
![]() |
↑ 정의당 여영국 공동상임선대위원장이 9일 국회에서 열린 지방선거대책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 사진 = 연합뉴스 |
정의당은 이에 대해서는 적극 부인했습니다. 이 수석대변인은 지난해 11월 21일 강 전 대표가 정의당 행사에서 발생한 사건을 당 젠더인권특위 위원장에게 알렸고, 22일에는 강 전 대표의 요구대로 당사자인 해당 위원장에 대한 엄중 경고와 서면 사과 조치하기로 결정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23일에는 당 젠더인권특위 위원장이 사과문을 받아 강 전 대표에게 전달했고, 사과문 내용에 대한 동의와 수용 의사를 확인한 후 해당 사건을 종결했다고 부연했습니다.
그러면서 해당 위원장이 강 전 대표에게 보낸 사과문 내용 전문을 첨부하기도 했습니다. 위원장은 사과문을 통해 "술을 마시고 긴장감이 풀려 행동과 태도가 부적절했다는 것을 당 대표로부터 전해 들었다. 당일 자리에 앉는 과정에서 양해를 구하지 않고 몸을 밀치는 과정은 무례한 태도였다는 것과 밀치는 과정에서 부적절한 신체 접촉이 있었다고 들었다"며 "그 과정에서 강 대표가 매우 당황스러워했다는 말을 듣고보니 의도와 달리 불쾌한 감정에 많이 불편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반가운 마음을 존중감 있게 표현하고 실수에 대해선 즉시 사과를 했어야 했는데. 그러지 못한 점을 사과드린다"고 말했습니다.
이러한 사과문을 강 전 대표가 '내용이 괜찮고 수용하겠다'는 취지로 당 젠더인권특위 위원장에게 답을 보냈다는 게 정의당 측의 입장입니다.
아울러 "해당 위원장의 지방선거 공천은 당규와 공천 심사 기준에 따라 진행됐다. 정의당은 성범죄에 대해 무관용 원칙으로 엄정한 기준을 적용하고 있다"며 "공천심사위원회는 공천심사 서류와 사전 질문지 답변서 등을 토대로 사실관계를 확인하고 종합적 검토를 통해 공천했다"고 전했습니다. 성폭력 문제에도 해당 위원장이 지방 선거 후보로 공천 됐다는 강 전 대표의 주장도 부인한 겁니다.
![]() |
↑ 강민진 전 청년정의당 대표 / 사진 = 매일경제 |
강 전 대표는 "당의 입장문 자체가 2차 가해"라고 강하게 반박했습니다. 강 전 대표는 "당은 이 입장문을 전 당원에게 문자 발송까지 했다"며 "성폭력을 '불필요한 신체접촉'으로 표현하고, 심지어 제가 그 용어를 썼다고 주장하는 것이 당의 공식 입장이라는 점이 경악스럽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어 "저는 그 사건에 대해 '성폭력이 아니다'라고 공식화한 적이 없다"며 "'불필요한 신체접촉'이라는 용어는 제가 사용한 말이 아니라, 가해자가 저에게 사과문을 보내오면서 쓴 말"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당이 피해자를 상대로 이런 입장을 내는 것이 2차 가해가 아니라면 무엇이란 말이냐"며 "당 대변인의 입으로 피해를 부정하는 입장이 나가고 있는 것"이라고 비판했습니다.
강 전 대표는 "제가 처음 공식적으로 11월 경의 모 광역시도당 위원장 사건을 선대위 회의에서 알렸을 때, 그가 술자리에서 제 허벅지에 두차례 손을 대었고, 심지어 접촉한 허벅지 부위가 안쪽 허벅지였기 때문에 더 놀랐고, 몸이 굳고 당황해서 한동안 움직일 수 없었고, 그 자리를 피하려고 빠져나왔으나 가해자가 계속 따라왔다는 이야기를 했다"며 "당시에 정말 성폭력이 아니라고 판단하였으면, 가해자로부터 사과문을 받아 전달해주는 역할을 왜 젠더인권특위가 맡은 것이냐. 앞뒤가 맞지 않는다"고도 했습니다.
해당 위원장의 공천 심사 과정에서 젠더인권특위에 문의가 있었다는 소식도 처음 들었다고 주장했습니다. 강 전 대표는 "저는 가해자의 행위를 성폭력이 아니라고 규정해준 적이 없다"며 "공천 심사 과정에서 그 누구도 저의 의사를 묻지 않았다"고 말했습니다.
강 전 대표는 "가해자로부터 사과문을 받는 것이 저에게 큰 의미가 있지는 않았지만, 그 상황에서 달리 할 수 있는 것이 없었기에 사과문을 수용했다"며 "여영국 대표가 가해자에게 '엄중 경고'를 하셨다고 하는데, 가해자는 아직도 저에게 며칠마다 한 번씩 자신의
아울러 "그럼에도 당이 이 사건을 다루는 과정에 조금도 문제가 없었다고 평가하면서 사실상 가해자의 지방선거 공천은 계속 유지하겠다는 입장을 밝히는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고 비판했습니다.
[윤혜주 디지털뉴스 기자 heyjude@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