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일 관람 인원 총 3만9천 명
![]() |
↑ 청와대. / 사진 = 연합뉴스 |
청와대가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취임하는 5월 10일 정오를 기점으로 일반 시민들에게 무료로 공개됩니다.
윤 당선인이 대통령 집무실을 청와대에서 용산 국방부 청사로 이전하는 데 따른 후속 조치입니다.
청와대 이전 태스크포스(TF)는 25일 오후 서울 종로구 통의동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기자회견장에서 미디어데이 행사를 열어 이같은 계획을 공식 발표했습니다.
TF팀장인 국민의힘 윤한홍 의원은 브리핑을 통해 "5월 10일 취임식이 끝나는 시간에 청와대의 문을 완전히 개방하기로 했다"며 "이로써 본관, 영빈관을 비롯해 최고의 정원으로 불리는 녹지원과 상춘재가 국민 누구나 누릴 수 있는 열린 공간으로 재탄생하게 된다"고 밝혔습니다.
![]() |
↑ 윤한홍 청와대 이전 태스크포스(TF) 팀장(왼쪽)과 김용현 부팀장이 25일 오후 서울 종로구 통의동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서 청와대 개방 행사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 사진 = 연합뉴스 |
다만 청와대 본관과 대통령 관저 등 건물 내부와 경호처, 여민관 등 출입 통제 구역은 당장 개방되지 않습니다.
건물 내부는 주요 기록물과 통신시설, 보안 문서 등을 정리한 후에 전면 개방할 수 있도록 준비할 예정입니다. 개별 건물의 활용 계획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습니다.
관람객 입장은 정문, 춘추관, 영빈관 등에서 바코드 스캔을 통해 관리할 예정이며, 바코드 사용이 여의치 않다면 손목띠를 발급할 계획입니다.
개방 시간은 5월 10일 하루만 오후 12시부터 8시까지입니다. 이후로는 오전 7시에서 오후 7시이며, 주말에도 개방합니다. 추후 야간 개장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관람객은 사전 신청자 중 당첨자에 한해서만 방문이 가능합니다. 안전사고 발생 우려 등을 고려해 하루 여섯 차례, 2시간마다 6천500명 씩 일일 관람 인원을 총 3만9천 명으로 제한했습니다.
TF에 따르면 기존 청와대 부분 개방이 하루 1천500명을 대상으로 이뤄진 것과 비교했을 때 규모가 26배 늘어난 것입니다.
인솔자 없이 자유 관람이 가능하도록 한 것도 기존 방식과의 차별점입니다.
윤 의원은 "개방 초기 관람 신청 서비스 제도를 운용하기로 했다. 한시적으로 입장 신청을 받아 운영할 계획"이라며 "입장 규모와 운영 방식은 국민 여러분의 관심도와 입장객 추이 등을 고려해 조정할 수 있다"고 전했습니다.
사전 신청은 오는 27일 오전 10시부터 네이버, 카카오, 토스 등의 모바일 앱과 웹사이트를 통해 할 수 있습니다. 관람 희망일로부터 8일 전에 신청하면 됩니다. 65세 이상 노인과 장애인 단체 관광은 별도 신청을 받
청와대 뒤편의 북악산 등산로는 5월 10일 완전히 개방됩니다. 등산로 출입을 위한 사전 신청과 인원 제한은 없습니다.
윤 의원은 "조선 시대 500년과 대한민국 건국 이후 74년을 합해 600여년간 닫혀 있던 권력의 상징, 그 공간이 국민 품으로 돌아간다"며 "새로운 역사적 순간에 함께 해주시기를 바란다"고 전했습니다.
[디지털뉴스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