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에게 가장 기대하는 분야는 '경제성장 정책'…23.6%
![]() |
↑ 29일 서울 통의동 금융감독원 연수원내 인수위원회에서 열린 대통령직인수위원회 2차 간사단 회의에 참석한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 사진 = 연합뉴스 |
국민의 절반 이상이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국정 운영에 기대감을 갖고 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세부적으로는 경제성장, 부동산 안정, 소상공인 지원 등 민생 분야에 진전이 있기를 바라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윤 당선인의 강경한 대북 태도에 대해선 국민 10명 중 6명이 긍정적으로 평가했습니다. 대통령 집무실 용산 이전과 관련해선 찬반이 엇갈렸습니다. 6월 1일 실시되는 전국동시지방선거에 대한 의미에 대해선 '새 정부 지원'과 '견제'가 팽팽한 결과를 보였습니다.
뉴스1이 여론조사 전문회사 엠브레인퍼블릭에 의뢰해 지난 27일~28일 이틀간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4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설문 조사 결과, '윤 당선인이 차기 정부의 국정 수행을 얼마나 잘할 것으로 기대하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55%는 '잘할 것', 42.6%는 '잘 못 할 것'이라고 답했습니다. '잘할 것'이라는 응답은 '매우 잘할 것' 13.2%와 '잘할 것' 41.8%를 합했고, '잘 못 할 것'이라는 응답은 '잘 못 할 것' 22.9%와 '매우 잘 못 할 것' 19.7%를 더한 것입니다.
윤 당선인에 대한 기대감은 연령대별로 엇갈렸습니다.
20대는 '잘할 것'이란 응답이 59%, '잘 못 할 것' 38.5%이었습니다. 60대 이상은 '잘할 것'이라는 응답이 67.7%로 높았지만, 40대는 46%, 50대 43.5%로 줄었습니다. 30대는 '잘할 것'이란 응답이 51.6%, '잘 못할 것'이란 응답이 45.5%로 나타났습니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잘할 것'이란 의견이 60.6%로 높았지만, 여성은 '잘할 것'이란 응답이 49.6%로 절반을 넘어서지 못했습니다.
'5월 10일 출범하는 새 정부가 잘할 것으로 기대되는 분야는 무엇인가'라는 질문엔 '규제 완화 등 경제성장 정책'이 23.6%로 가장 높은 응답을 보였습니다.
![]() |
↑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 전망대 서울스카이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 모습. / 사진 = 연합뉴스 |
이어 '집값 안정 등 부동산 정책'이 19.9%, '소상공인 지원 등 코로나 정책'이 14.8%로 각각 2, 3위를 기록했습니다. '여야 협치 등 국민통합' 11.0%, '남북관계 등 외교∙안보 정책' 10.1%로 뒤를 이었습니다. '모름∙무음답' 비율은 20.6%로 비교적 높았습니다.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30대와 40대는 경제성장 정책에 각각 32.7%, 30.7% 응답을 보이며 큰 기대를 하고 있었고, 20대와 50대는 각각 26.0%, 22.2%로 부동산 정책에 가장 큰 기대감을 보였습니다.
윤 당선인의 공약 이행에 대해선 10명 중 7명이 '현실적으로 무리가 있는 공약은 지킬 수 없을 것'(69.3%)으로 응답했고, 10명 중 6명은 '현실성을 다시 검토해 지키기 어렵다고 판단할 경우 솔직하게 사과하고 철회해야 한다'(60.8%)고 진단했습니다.
대통령 집무실 이전 및 청와대 공원화에 대해선 '매우 찬성'과 '찬성하는 편'을 합쳐 응답자의 44.3%가 찬성, 51.9%가 반대 응답을 보였습니다.
다만 이전 시기와 장소를 구체적으로 물은 데 대해선 '취임과 동시에 용산으로 이전해야 한다' 24.3%, '이전하되 시기는 조절해야 한다'가 23.7%로 나타났습니다. '이전은 찬성하나 용산을 바람직하지 않다'가 6.2%, '지금 그대로 청와대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가 44.5%의 응답을 보였습니다.
시기나 지역에 상관없이 집무실 이전에 긍정적으로 답변한 응답자의 비율의 합은 54.2%입니다.
지난 24일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시험 발사 당시 윤 당선인이 '북한의 도발로 얻을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고 강경한 태도를 취한 것에 대해선 응답자의 59.7%가 '찬성한다'고 답했고, 36.9%가 '반대한다'고 답했습니다.
신구 권력 갈등의 책임에 대해선 응답자의 32.2%가 '문재인 정부', 33.4%가 '윤석열 당선인'이라고 진단했습니다. '양측 모두에 책임이 있다'고 답한 비율은 32.4%입니다.
판단은 세대별로 엇갈리기도 했습니다. 30대와 60대 이상은 각 33.4%, 43.5%의 비율로 '문재인 정부 책임론'에 응답했습니다. 반면, 40대와 50대는 각 46.3%, 45.7% 비율로 '윤 당선인의 책임'에 응답했습니다. 20대는 '양측 모두의 책임'이라는 응답이 43.6%로, 비교적 중립적인 의견이 많았습니다.
오는 6월 1일 시행되는 전국동시지방선거의 의미에 대해선 '새 정부에 힘을 실어주기 위해 여당인 국민의힘이 승리해야 한다'는 의견이 48.6%, '새 정부를 견제하기 위해 야당인 더불어민주당이 승리해야 한다'는 의견이 44.3%로 오차범위 내 접전을 벌였습니다.
이와 관련해 세대별 의견이 엇갈렸습니다. 30대와 60대 이상은 53.1%, 60.6%가 '새 정부 지원'을, 40대와 50대는 54.2%, 55.5%가 '새 정부 견제'를 꼽았습니다. 20대는 '새 정부 지원'이 45.7%, '새 정부 견제'가 46.4%의 응답을 보였습니다.
이번 조사는 이번 조사는 성·
[디지털뉴스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