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과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대선 후 19일 만인 지난 28일, 회동이라는 관문을 통과했죠.
청와대가 집무실 이전에 협조 의사를 밝히며 극한 대립은 봉합하는 모양새를 갖춘 가운데, 이명박 전 대통령 사면 문제 등이 숙제로 남았는데요.
김민수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
첨예하게 대립해 온 '대통령 집무실 용산 이전'은 일단 간극이 좁혀졌다는 반응입니다.
▶ 인터뷰 : 장제원 / 당선인 비서실장 (지난 28일)
- "지금 정부는 정확한 이전 계획에 따른 예산을 면밀히 살펴 협조하겠다…."
하지만 현 정부는 "안보 공백 우려 등을 면밀히 살핀다"는 전제를 강조해왔기 때문에 실제 용산 집무실 가동이 얼마나 빨라질지는 미지수입니다.
집무실 이전 예비비 편성은 어제(29일) 국무회의에 상정되지 않은 가운데 추후 실무협의를 거쳐 결정됩니다.
회동에선 임기 말 인사문제와 코로나 손실 보상, 윤 당선인의 공약인 50조 추경안 등에 대한 의견도 교환했습니다.
윤 당선인 측은 "문 대통령이 추경 편성 필요성에 공감했다"며 정부의 적극적 추경안 편성에 기대를 나타냈습니다.
이명박 전 대통령 사면은 언급되지 않은 가운데 윤 당선인 측은 "사면은 대통령 고유 권한"이라며 선을 그었습니다.
▶ 인터뷰 : 김은혜 / 대통령 당선인 대변인
- "사면 문제와 관련해서는 대통령 고유의 소관사항임을 다시 한번 말씀을 드리고요."
첫 회동으로 협치의 물꼬는 텄지만, 민감한 사안이 산재한 만큼 추후 실무 협의는 순탄치 않을 거라는 전망입니다.
MBN뉴스 김민수입니다.
영상취재 : 문진웅 기자
영상편집 : 김경준
그 래 픽 : 박성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