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29일 국회에서 국회 국방위원회 전체회의가 열리고 있다. 이날 회의는 북한의 ICBM 발사와 관련된 긴급 현안 보고를 위해 열렸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국방부는 29일 오후 국회 국방위원회 전체회의에 제출한 현안보고 자료에서 '북 주장 화성-17형을 화성-15형으로 평가하는 근거'라는 설명과 함께 이같이 밝혔다.
국방부는 "북한은 지난 24일 평양 순안비행장에서 ICBM을 고각으로 쏘아 올린 뒤 이튿날 신형인 화성-17형이었다고 발표했는데, 이는 사실이 아니며 '화성-15형'을 쐈으면서 '화성-17형'을 발사한 것처럼 기만했다는 게 한미 군 당국의 평가"라고 밝혔다.
국방부는 북한이 대내적인 이유로 화성-17형 발사에 성공한 것처럼 꾸몄다고 분석했다. 국방부는 "이번 북한의 ICBM 발사는 대외적 측면보다는 대내적 고려 사항이 더 컸었던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국방부는 "3월16일 발사 실패 장면을 평양 주민들이 목격한 상황에서 유언비어 차단과 체제 안정을 위해 최단 시간 내 성공 메시지를 전달할 필요가 있었고 2017년 성공해 신뢰도가 높은 화성 15형을 대신 발사했다"며 "비행 제원을 기만해서라도 한국·미국과 국제 사회에 ICBM 능력이 고도화됐음을 강변해 군사 강국 지위를 확보하고 협상력을 높이려 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앞서 북한은 지난 16일 순안비행장에서 '화성-17형'을 발사했지만, 고도 20㎞ 미만의 초기 단계에서 공중 폭발한 바 있다.
국방부가 이번 미사일을 '화성-15형'으로 평가한 근거는 비행 특성·영상 속 그림자·기상·기술적 요소·한미 평가 일치 등 크게 5가지다.
우선 탄도미사일은 탄종별로 고유의 비행특성(상승가속도, 연소·단 분리 시간)을 가지고 있다며 "탐지된 비행 특성을 정밀분석한 결과 화성-17형보다는 화성-15형과 유사했다"고 설명했다.
북한이 공개 보도한 영상 속 김정은 위원장의 그림자는 서쪽으로 생겨 오전 8∼10시에 찍힌 것으로 보이지만, 실제 발사 시간은 오후였다고 지적했다.
또 발사 당일 장소인 순안 날씨는 구름으로 대부분 덮여있었는데 영상에선 청명한 날씨라는 점도 근거로 제시했다.
국방부는 "각종 한미 공조회의에서 미국도 한국 측의 분석기법과 평가 내용에 동의했다"며 "미국 측도 상세 분석을 진행 중이며, 화성-15형으로 단정하지는 않았으나 가능성
이 밖에 화성-17형은 액체연료 엔진 4개 묶음(클러스터링)으로, 엔진 2개짜리인 화성-14·15형보다 복잡한 기술이 필요하다며 "16일 실패 이후 8일 만에 이뤄진 재발사는 실패 원인을 분석하기에는 부족한 시간"이라고 지적했다.
[맹성규 매경닷컴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