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관계자들이 지난 1월 3일 오후 서울 지하철 5호선 광화문역에서 열린 '기획재정부 장애인권리예산 반영 촉구에 대한 입장발표 기자회견'을 마친후 열차에 탑승해 장애인 이동권 보장을 촉구하는 시위를 하고 있다. / 사진=연합뉴스 |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가 오늘(25일) 장애인 단체가 서울 지하철 3·4호선에서 장애인 이동권을 위한 승하차 시위를 벌인 것과 관련해 “문재인 정부 하의 박원순 시정에서 장애인 이동권을 위해 했던 약속들을 지키지 못했다는 이유로 오세훈 시장이 들어선 뒤에 지속적으로 시위를 하는 것은 의아한 부분”이라고 밝혔습니다.
이 대표는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 글을 통해 “국민의힘은 지금까지도 장애인 이동권 향상을 위해 노력해왔고, 더 노력할 것”이라며 “국민의힘과 윤석열 당선인은 이미 몇 달 전부터 해당 단체 간부 등에게 협의를 약속했다”고 이같이 적었습니다.
![]() |
↑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 / 사진=연합뉴스 |
아울러 이 대표는 장애인 단체의 ‘승하차 시위’로 지하철 연착이 발생하는 것과 관련, "아무리 정당한 주장도 타인의 권리를 과도하게 침해해 가면서 하는 경우엔 부정적인 평가를 받을 수 있다"고 했습니다.
이어 “서울경찰청과 서울교통공사는 안전요원 등을 적극 투입해 정시성이 생명인 서울 지하철의 수백만 승객이 특정단체의 인질이 되지 않도록 조치해야 한다”라며 “장애인의 일상적인 생활을 위한 이동권 투쟁이 수백만 서울시민의 아침을 볼모로 잡는 부조리에 대해서는 적극적으로 개입해야 한다”고 전했습니다.
이 대표는 “평시에 비장애인 승객들에게도 출입문 취급 시간에 따라 탑승 제한을 한다”며 “장애인 승객에게 정차 후 일정 시간이 지난 뒤 출입문 취급을 위해 탑승 제한을 하는 것은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했습니다.
한편, 장애인단체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전장연)’는 이동권 등 장애인 권리를 위한 예산 반영을 주장해 왔습니다. 지난달에도 21일간 시위를 진행하며 대선 후보들에게 예산 관련 공약을 요구했습니다. 심상정 정의
그러다 한 달 여만인 어제(24일) 지하철 3호선 경복궁역 등 승강장에서 출근길 지하철 승하차 시위를 재개했습니다. 전장연은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 이동권·탈시설 권리 등 장애인권리예산 반영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을 요구하는 상황입니다.
[디지털뉴스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