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미국서 'K-트럼프'라 해…제왕적 행태 전형"
![]() |
↑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20일 오전 서울 종로구 삼청동 대통령직인수위원회 회견장에서 대통령실 용산 이전과 관련해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 사진 = 국회사진기자단 |
윤석열 당선인의 대통령 집무실 이전 문제와 관련해 여야 간 설전이 이어졌습니다. 더불어민주당은 윤 당선인이 '불통 정권'을 예고하고 있다고 비판했고, 국민의힘은 대선 불복 심리 아니냐고 맞섰습니다.
국민의힘은 졸속 추진·안보 공백 등 민주당의 공세를 '발목 잡기'로 규정하면서 과거 문재인 대통령의 '광화문 시대' 공약을 들고나와 적극적인 역공에 나섰습니다.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는 최고위 회의에서 "대통령은 취임하게 되는 순간부터 연속적으로 치열하게 국정을 다루기 때문에 임기 중에 집무실을 이전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며 "임기 중에 집무실 이전하게 되면 그것이 바로 흔히 이야기하는 국정 공백이나 안보 공백을 야기할 가능성이 크다"고 주장했습니다.
김기현 원내대표는 "문재인 대통령이 지키지 못했던 '광화문 대통령' 약속을 이제라도 지킬 수 있도록 협조해야 마땅할 것"이라며 "반대를 위해서 이전 비용이 1조 원 이상이 소요된다거나 헬기장을 미군이 통제한다는 등의 가짜뉴스를 퍼트리는 것은 국론을 분열시키고 국익을 해치는 행태"라고 지적했습니다.
조수진 최고위원은 "대통령이 소통을 위해 청와대를 나와야 한다는 것은 김영삼 대통령 때부터 공감대가 있었고, 대통령 집무실 이전에 가장 적극적인 분이 문재인 대통령이었다"며 "민주당은 안보 공백을 거론할 자격이 있는지부터 헤아려보는 것이 순서다. 대통령 집무실 이전 문제까지 내로남불식이어야 하겠나"라고 말했습니다.
김재원 최고위원은 "아직도 여당인 이분들이 지금 벌써 천하의 혹독한 야당보다도 더 심한 발목 잡기를 벌써 시작하고 있다"며 "대선 불복 심리에서 이런 일을 벌이고 있다면 이것은 정말 문제가 있는 행태"라고 비난했습니다.
정미경 최고위원도 "이번 기회에 국방부, 합참, 각 군 본부, 이 부분에 대해서 지금 어떻게 할 건지, 조정할 건지 하는 기회로 삼았으면 너무 좋고 이게 무슨 안보 공백 하고는 아무 상관이 없다"며 "안보를 가지고 민주당이 얘기하는 것은 거의 코미디 수준"이라고 일갈했습니다.
민주당은 대통령 집무실 용산 이전과 관련해 연일 공세를 퍼부었습니다. 윤호중 민주당 공동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오전 비대위 회의에서 "대통령 당선이라는 분이 새집 꾸밀 궁리만 하고 있으니 정말 참담하다"며 "이러니까 미국에서는 한국의 K-트럼프가 나섰다는 말이 떠돌고 항간에 레임덕(lame duck)이 아니라 취임덕(duck)에 빠질 것이란 얘기까지 나오는 것 아니냐"고 질타했습니다.
이어 "청와대의 용산 이전은 민생에 백해무익하고 국가안보에는 재앙과도 같다"며 "용산 이전 과정에서 막대한 안보 공백 가능성이 크고, 일선 부대 하나 옮기는데도 수년 가까운 시간이 걸리는데 국방의 심장을 두 달 만에 옮기는 것은 말이 안 된다. 당선 열흘 만에 불통 정권 문제를 여지없이 드러낸 셈"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박지현 민주당 공동비대위원장도 KBS 라디오 '최경영의 최강시사'에서 "(윤 당선인은) 제왕적 권력을 벗어난다는 취지로 용산 이전을 말했는데 그 자체가 제왕적 행태의 전형 아닌가"라며 "소통을 위해 청와대로 이전한다는 사람이 일단 이전을 둘러싼 논란에 대해서는 불통"이라고 직격했습니다.
그러면서 "민주당에서는 윤 당선인이 (집무실 이전을) 졸속으로 처리하는 것에 대한 분명한 문제의식을 느끼고 있는 상황"이라며 "국정 책임자가 될 분이 최우선으로 고민해야 할 것은 내가 일할 공간, 내 집보다 국민이 살 집, 국민의 삶의 터전에 집중돼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조응천 민주당 비대위원은 "윤 당선인 인수위가 열흘간 몰두한 유일한 것은 집무실 이전, 인테리어 이사 비용이고 관계자들이 던졌던 화두는 이명박 전 대통령 사면, 민정수석실 폐지, 검찰총장 사퇴뿐이었다"며 "임기 첫날부터 국민들에게 보여줘
김성환 민주당 정책위의장도 집무실 이전 비용에 대해 "(윤 당선인이 말한) 496억 원으로는 해결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액수를 떠나 졸속으로 해야 하는 것인지에 대해 여전히 동의하기 어렵다"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우한나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hannau70@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