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관 돌파할 수 있는 건 李뿐…전화로 요청"
![]() |
↑ 대화 나누는 김두관 의원과 이재명 상임고문 / 사진=국회사진기자단 |
김두관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제20대 대통령선거에서 석패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상임고문이 곧 정치를 재개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오늘(14일) 김 의원은 YTN 라디오 '황보선의 출발 새아침'에서 "이 난관을 돌파할 수 있는 사람은 이 상임고문밖에 없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김 의원은 "이 후보는 잘 싸웠고, 출중한 역량과 걸출한 모습을 보여줬다"면서도 "민주당은 절반만 열심히 했다는 생각을 지울 수 없는 측면이 있다"라고 지적했습니다.
그는 "우리 당이 익숙한 것으로부터 결별을 하고 새로운 모습을 보여주는 게 중요하다"며 "새로움의 아이콘은 이번 대선을 통해 이재명으로 정리됐다"라고 강조했습니다.
김 의원은 이낙연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겨냥해 "당내 경선이 끝나고 원팀으로 출발했지만 그 과정에서 아쉬움이 있었다"며 "특히 대장동 문제를 우리 내부에서 터뜨린 측면이 있는데, 어느 정도 진실이 밝혀졌으면 문제를 제기한 쪽에서 공식적인 사과도 한 번 하는 것이 좋지 않을까 하는 아쉬움도 있다"라고 꼬집었습니다.
![]() |
↑ 윤호중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장 / 사진=국회사진기자단 |
이어 윤호중 원내대표가 비상대책위원장을 맡은 것에 대해 "지도부 사퇴의 책임을 져야 할 사람이 비대위원장을 맡는다는 건 말이 안 된다"며 "1년 동안 원내대표를 하면서 언론개혁이나 검찰개혁, 개혁 입법 하나를 통과시키지 못했다. 이런 것이 쌓여 국민이 민주당을 불신했고 대선 패배로 이어진 것"이라고 비판했습니다.
그러면서 "국민 입장에서 보면 대선만큼 지방선거가 중요하다"며 "지방자치단체장과 지방의회(지방선거)를 책임질 만한 사람은 지금 비대위원장은 아니다. 이 난관을 돌파할 수 있는 사람은 이 상임고문 밖에 없다. 선거에 져서 몸과 마음이 고단한 건 알지만 이 상임고문의 비대위 위원장 체제로 지방선거를 돌파했으면 좋겠다"라고 주장했습니다.
김 의원은 "제가 3~4일 전에 (이 상임고문에게) 전화를 했다. '(비대위원장을) 꼭 맡아줬으면 좋겠다', '정치인이라는 것은 유권자와 국민과 늘 호흡해야 하니 (위원장을) 맡아 지방선거를 선방했으면 좋겠다' 그런 요청을 했다"며 "(이 후보는) 그냥 듣고만 계시더라"라고 전했습니다.
끝으로 "지방선거에서 좋은 결과가 안 나와도 그 결과를 이 상임고문에게 물을 사람은 아무도 없다"라고 덧붙였습니다.
![]() |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상임고문 / 사진=국회사진기자단 |
앞서 이수진 더불어민주당 의원도 김 의원과 결을 같이 하는 의견을 내놓았습니다.
이 의원은 "지금 민주당이 가진 가장 강력한 무기는 이 상임고문"이라며 "당내 누구에게나 인정받을 수 있고, 또 1,600만 명 국민들이 지지했던 이 상임고문이 비대위원장을 맡게 된다면 (당의 화합과 전열의 재정비 등) 이런 문제
다만 안민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민주당의 귀한 자산이 된 이 상임고문을 당장의 불쏘시개로 쓰지 말고 아껴야 한다"며 "다가오는 지방선거에서 이 상임고문의 역할이 필요할 수도 있지만 우리는 신중해야 할 것"이라고 우려를 표했습니다.
[차유채 디지털뉴스 기자 jejuflower@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