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국회, 추경 40억 증액…산자위∙보건복지위 각각 25조, 15조 원↑
![]() |
↑ 박수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 / 사진 = 연합뉴스 |
박수현 청와대 국민소통 수석이 8일 국회가 추가경정예산(추경)안을 증액하더라도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동의하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을 밝힌 것에 대해 "35조 원, 40조 원 규모에 대해 경제부총리가 걱정이 안 되겠나"라고 말했습니다.
박 수석은 오늘 YTN 라디오에 출연해 "홍 부총리는 재정을 운용하는 당국자"라며 이같이 언급했습니다.
홍 부총리는 전날 추경안 심사를 위한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추경) 규모가 (원안의) 2~3배가 되면 부작용이 너무 크고 미치는 영향도 커서 받아들이기 어렵지 않겠나"라고 밝혔습니다.
또 그는 "정부가 14조(추경안)를 냈는데 (여야가) 35조 원, 50조 원 합의해서 하면 정부가 받아들여야 하냐"며 "그걸 받아들이는 자체가 무책임한 행동"이라고 언급하기도 했습니다.
![]() |
↑ 8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서 답변하고 있는 홍남기 경제부총리. / 사진 = 연합뉴스 |
그러면서 "예전처럼 (정부가) 제출한 예산 규모에서 감액과 증액을 논의하는 건 할 수 있지만 일방적으로 '여야가 합의했으니 그게 35조 원이 됐든 50조 원이 됐든 합의하면 받아들여라, 수용해라'라고 하는 것은 재정을 맡고 있는 입장에서 당연히 받아들이기가 어렵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에 강민정 민주당 의원은 이같은 홍 부총리의 발언을 두고 "민주주의의 기본 원리를 근본적으로 부정하는 발언"이라고 말하자, 홍 부총리는 "기재위에서 답변한 것을 가지고 민주주의 자체를 부정한다고 지적했는데 잘 이해를 못 하겠다"고 반박했습니다.
앞서 홍 부총리는 지난 4일 기재위 전체회의에서 여야가 추경 증액을 합의해도 동의하기 어렵다는 뜻을 밝힌 바 있습니다. 이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는 "민주주의 제도 자체를 부정하는 폭거"라며 비난했습니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와 보건복지부는 전날 정부의 14조 원 규모 추경안보다 각각 25조 원, 15조 원을 늘린 추경안을 의결했습니다.
산자위는 방역
산자위는 방역지원금 지급 금액과 손실보상 대상, 제도화에 필요한 예산 등을 대폭 확대했습니다. 보건복지위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가능성에 대비한 생활지원비, 유급휴가비, 진단검사비, 코로나 치료제 구입비 등을 증액했습니다.
[디지털뉴스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