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도 광산 갱도[사진 = 연합뉴스] |
중국 외교부 대변인실은 30일 연합뉴스의 서면 질의에 보내온 답변에서 "강제노역은 일본 군국주의가 대외 침략과 식민통치 기간에 저지른 심각한 범죄"라며 이같이 밝혔다.
대변인실은 "일본은 앞서 유사한 등재 과정에서 일부 유적지에서 아시아 국가 노동자들의 의사에 어긋나는 강제노역이 있었다고 인정하며 희생자를 기리기로 약속했지만 끝내 실현하지 않았다"며 2015년 하시마(일명 군함도) 등 근대산업시설의 세계유산 등재 당시 한 약속을 이행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일본이 이웃 나라의 아픈 기억을 무시하고 새로운 유사 등재를 시도하는 것은 분노와 반대를 불러일으킬 뿐"이라고 비난했다.
그러면서 "일본은 역사를 직시하고 반성해야 한다"며 "성실하고 책임감 있는 태도와 실제 행동으로 역사가 남긴 문제를 적절히 처리하고, 아시아 이웃 나라와 국제사회의 신용을 얻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28일 저녁 총리관저에서 사도 광산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신청을 올해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한국 외교부는 아이보시 고이치 주한 일본대사를 불러 일본 정부의 결정에 강한 유감과 함께 세계유산 등재 시도를 즉각 중단하라고 요구했다.
한편, 일본 정부가 사도 광산을 유네스코에 세계문화유산으로 추천한다고 발표하기 전에 미국에 관련 내용을 설명했다는 일본 현지 매체의 보도가 나왔다. 사도 광산의 세계유산 추천으로 총리가 우려한 쪽은 한국이 아니라 미국이었다고 전했다.
니혼게이자 보도에 따르면
[조성신 매경닷컴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