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 후보가 20일 오전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내게 힘이 되는 세 가지(연말정산·반려동물·양육지원) 생활 공약`을 발표한 뒤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윤 후보는 이날 오전 여의도 당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소득세, 반려동물, 보육과 관련한 '생활 밀착형' 공약 세 가지를 발표했다.
먼저 윤 후보는 연말정산과 관련해 "연말정산에서 본인과 가족에 대해 공제해 주는 인적공제 혜택도 대폭 확대하겠다"고 공약했다.
윤 후보는 "인적공제 본인 기본공제액을 현행 1인당 150만원에서 200만원으로 확대하고, 부양가족 요건은 현행 만 20세 이하에서 만 25세 이하로 완화하겠다"며 "부양가족 인적공제 배제 기준은 현행 연 소득 100만원 이하를 200만원 이하로, 근로소득 총 급여액 500만원 이하를 700만원 이하로 상향 조정하겠다"고 밝혔다.
윤 후보는 "코로나19 대재앙이 끝날 때까지 음·숙박비, 유류비 및 교통비에 대한 공제율을 지금의 2배로 올려 국민의 세금 부담을 연 450억원 정도 덜어줄 것"이라며 "신용카드 공제 한도도 일괄 50% 인상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또한 윤 후보는 반려동물 진료비 부담을 낮추겠다고 공약했다. 윤 후보는 "강아지, 고양이 등 주요 반려동물의 다빈도·고부담 질환에 대해 진료 항목 표준화, 항목별 비용 공시제, 진료비 사전 공시제를 정착시키고, 표준수가제도 도입하겠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윤 후보는 "만 0∼5세의 보육과 유아 교육 국가책임제를 통해 영유아 단계에서의 공정한 기회를 보장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는 "무상급식비 월 6만원(영아는 월 5만원)을 모든 유형의 보육시설과 유치원에 추가로 지원한다. 현재 부모가 부담하고 있는 조식비와 석식비도 정부가 지원하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어린이집에서 만 0∼2세 영아반에 보육 교사를 추가로 배치해 교사 대 아동 비율을 만 0세는 1대2, 1세는 1대4, 2세는 1대6으로 각각 축소하겠다고 약속했다.
이외에도
[최현주 매경닷컴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