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문재인 대통령이 3일 오전 청와대에서 2022년 임인년 신년사를 하고 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문대통령은 "정부는 유한하지만 역사는 유구하다"며 "어느 정부든 앞선 정부의 성과가 다음 정부로 이어지며 더 크게 도약할때 더 나은 미래로 계속 전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대선이 다가오면서 현 정권 검찰총장 출신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는 물론 여당인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까지 문재인 정부와 차별화에 나서는 상황이다. 특히 문대통령이 정책실패로 자인하며 수차례 사과했던 부동산 문제가 타깃이 되고 있다. 문대통령은 신녀사에서도 "마지막까지 주거 안정을 위해 전력을 기울이겠다"고 의지를 밝혔다. 이어 "최근 주택 가격 하락세를 확고한 하향 안정세로 이어가면서, 실수요자들을 위한 주택공급에 속도를 내겠다"며 "다음 정부에까지 어려움이 넘어가지 않도록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문대통령은 집권 4년여를 회고하며 "헌정사상 초유의 대통령 탄핵 국면에서 인수위 없이 출범한 우리 정부는 무너진 헌정질서를 바로 세우고 민주주의를 진전시켰다"고 평가했다. 특히 "권력기관이 더이상 국민 위에서 군림하지 못하도록 견제와 균형의 원리가 작동하는 권력기관 개혁을 제도화했다"고 강조했다. 최근 문대통령의 1호공약이자 권력기관 개혁의 핵심인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가 국회의원, 기자 등을 대상으로 한 통신조회 논란으로 출범후 최대 위기에 빠진 상황에서 내놓은 언급으로 눈길을 끌었다. 문대통령은 "권력의 벽은 낮아졌고 국민의 참여는 더욱 활발해졌다"며 "투명성과 개방성이 확대된 사회, 언론자유와 인권이 신장된 나라가 되었다"고 평가했다. 이어 개발도상국에서 선진국으로 격상된 한국의 위상을 평가하며 "지난 70년간 세계에서 가장 성공한 나라가 되었다"며 "1인당 국민소득 4만달러 시대를 바라보게 되었다"고 강조했다.
문대통령은 임기말 남북관계 개선의 마지막 승부수로 지난해 9월 유엔총회에서 다시 제안했던 종전선언에 대해선 언급하지 않았다. 대신 문대통령은
[임성현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