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 뒷이야기 알아보는 정치톡톡 시간입니다. 정치부 원중희 기자 나와있습니다.
【 질문 1 】
어제(3일) 윤석열 후보와 이준석 대표가 극적으로 화해를 했는데, 결별한 줄 알았던 김종인 전 위원장도 총괄선대위원장으로 합류를 했어요. 갑자기 어떻게 된 거죠.
【 기자 】
네, 그야말로 전격적이었는데요.
저희도 사실 지난달 24일 달개비 회동이 결렬된 뒤로 윤 후보와 김 전 위원장이 상당히 멀어진 걸로 파악하고 있었는데, 물밑에서는 계속 접촉 시도가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그제(2일) 권성동 사무총장과 정진석 국회부의장, 김재원 최고위원 등이 직접 김 전 위원장을 만났다고 하고요.
이준석 대표 측도 계속해서 김 전 위원장 영입에 공을 들인 것으로 전해집니다.
양측의 이런 노력 덕분에 어제(3일) 만찬자리에서 김 전 위원장과 윤 후보의 통화가 이뤄졌고, 총괄선대위원장 합류도 결정됐습니다.
▶ 인터뷰 : 윤석열 / 국민의힘 대선 후보
- "같이 계시던 분이 전화를 줘서 바꿔주신 거죠. 총괄선대위원장 맡으시겠다고 그래서 그러면 이제 발표하고 진행을 해도 되겠습니까 해서 그렇게 하라고 하셔서…."
【 질문 1-1 】
이 세 사람의 갈등이 이렇게 일시에 해소될 것처럼 보이진 않았었는데, 계기가 뭐였을까요.
【 기자 】
윤 후보 입장에서는 선대위가 총체적으로 위기에 빠진 상황이었기 때문에 달리 방법이 없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국민의힘은 지금 모든 언론이나 대중의 관심이 후보 본인에게 집중되어야 하는 시점이잖아요.
그런데 김종인 전 위원장과 이준석 대표에게 시선이 분산되다보니 후보의 메시지나 비전, 정책 등을 부각시킬 수가 없었고요.
선대위 '원톱'이 부재한 상태에서 의사결정 과정에서도 혼선이 빚어지고, 또 실무진 인선도 지연되고요.
이런 모든 상황들이 결국 최근 지지율 하락으로 나타난 건데, 이 대표와 김 전 위원장과의 갈등을 봉합하지 않고는 돌파하기가 어려웠을 것으로 보입니다.
【 질문 1-2 】
나름 반전을 꾀할 큰 이벤트였던 건데, 민주당은 평가절하했다고요.
【 기자 】
네, 박찬대 민주당 선대위 수석대변인은 "국민이 바라는 쇄신이라는 수술을 외면하고, 반창고로 땜방한 불안한 봉합", "폭탄주에 취해 만든 봉합"이라고 맹비난했습니다.
그러면서 "이준석 대표는 김종인 전 위원장을 지켜 신 '윤핵관'이 되려 하고, 윤 후보는 구 '윤핵관'들을 지켰다"고도 지적했습니다.
【 질문 1-3 】
'윤핵관'이 '윤석열 후보 측 핵심 관계자'인거죠? 대체 누구였나요.
【 기자 】
윤 후보는 사실 '윤핵관'의 존재 자체를 부인했는데요.
이준석 대표가 잠행 중에 장제원 의원의 지역 사무실을 찾으면서 장 의원이 윤핵관 아니냐는 얘기도 있습니다만, 장 의원은 부인한 바 있습니다.
【 질문 1-4 】
김 전 위원장도 오늘 취재진과 만났다고요. 선대위 구상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던가요.
【 기자 】
네, 김 전 위원장은 선대위와 관련해 "어떻게 해야할지 다 구상이 끝났기 때문에 걱정하지 않는다"고 자신감을 드러냈는데요.
일각에서는 김병준 공동상임선대위원장과 역할 배분 과정에서 갈등을 겪을 가능성도 지적하는데, 이렇게 답했습니다.
▶ 인터뷰 : 김종인 / 국민의힘 선대위 총괄선대위원장
- "역할 배분이 어딨어요. 나는 내 임무만 하면 되는 거지 역할이 따로, 선거때 역할 배분할 게 없어요."
김 전 위원장이 합류하면서 외연 확장을 위한 인재 영입도 다시 추진될 것으로 보입니다.
금태섭 전 의원의 합류는 확정됐고, '나는 임차인이다' 발언으로 유명한 윤희숙 전 의원이나 '조국 흑서'의 공동저자인 권경애 변호사 등도 거론되고 있습니다.
【 질문 2 】
민주당 이야기도 좀 해보겠습니다. '1호 영입 인사'였던 조동연 교수가 결국 물러났는데, 민주당으로선 타격이 상당할 것 같습니다.
【 기자 】
네, 당장 검증 책임론이 불거지고 있는데요.
송영길 민주당 대표 등 조 교수 영입에 관여한 극소수 인사는 사생활 논란을 대체로 알고 있었다고 합니다.
그런데 이 사실을 선대위에 공유하지 않아서 거짓 해명 논란으로 이어졌고, 문제가 불거진 뒤에는 조 교수를 지켜주지도 못했습니다.
결국 '보여주기식 인재 영입'으로 30대 여성의 이미지만 이용하려 했다는 비판을 피하기는 어려워 보이고요.
이번 사태로 유튜브와 일부 언론의 사생활 들추기식 보도에 대한 비판도 제기됐지만, 우리 사회가 가진 정치에 대한 도덕성 기준에 대한 논쟁도 촉발됐습니다.
쇄신을 꾀하고 있는 민주당으로선 향후 추가 인사 영입도 쉽지 않을 전망입니다.
【 앵커멘트 】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지금까지 정치부 원중희 기자였습니다.
영상편집 : 박찬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