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중러 접경지대내 유럽의 바젤국제공항을 모델로 한 국제공항을 건설해야 한다"
박종수 동북아공동체문화재단 상임대표(전 주러시아 공사)가 27일 정전협정 68주년을 맞아 '한반도 평화·통일 교두보-북중러접경 국제공항 및 배후단지 조성방안'이라는 주제로 열린 국제협력포럼에서 이같이 주장했다.
재단이 주최한 이날 포럼에서 '북중러 접경지대 GTI 재평가 및 국제공항 건설'을 주제로 발제자로 나선 박 대표는 "광역두만강개발계획(GTI) 중심의 동북아 소지역협력은 단순히 북중러 경제협력의 차원에 머물지 않고 향후 동북아 지역협력의 구도와 북한의 미래에 커다란 영향을 끼쳐 역내 정치질서를 견인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박 상임대표는 "유엔의 대북제재 및 코로나19 팬데믹 등 제약요인을 감안할 때, 착수가 비교적 용이한 프로젝트는 관광협력"이라며 "이를 위해 철도, 육상 및 해상 등 아날로그식 교통체계의 한계를 넘어 디지털형 교통체계 구축, 즉 유럽의 바젤국제공항을 모델로 한 북중러 접경지대내 국제공항을 건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바젤국제공항(유로에어포트)은 프랑스 영토에 위치하면서 스위스 바젤시를 명칭으로 사용하는 유럽의 허브공항이다. 1947년 양국 협력으로 설립된 바젤국제공항은 여전히 두 국가에 의해 공동운영되고 있다. 20세기 중반까지만 해도 갈등의 지역이었던 곳이 다자간 협력의 상징이 됐다는 게 박 상임대표의 설명이다.
그는 북중러 접경지역에 국제공항을 건설하는 것이 한반도의 대내외적인 여건을 고려해도 이롭다고 주장했다. 그는 "대내적으로는 남북한이 그간 갈등과 화해를 반복하면서 개성공단·금강산관광 등 경협프로젝트 조차도 영속적으로 추진할 수 없는 한계가 있고, 대외적으로는 한반도 주변강국의 영향력을 순기능적으로 활용해 북한을 개혁개방에 의한 국제공동체 일원으로 편입함으로써 평화와 통일의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 상임대표는 "주변국간 긴장과 갈등의 역사적 트라우마로 인해 미개발지로 방치된 접경지역에 국제공항을 공동운영함으로써 안보 리스크를 줄이고 초국경 교류와 협력을 강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다자협력이 아닌 양자간 협력사업을 추진하는 게 더 현실적이라는 주장도 제기됐다. 마리나 쿠클라 러시아 극동연방대학 교수는 "GTI 프로젝트는 전망이 밝으나 북한과 관련한 다자협력 사업 추진의 현실적 장애요인을 고려할 때 북러,북중, 한러 등 양자협력 사업 추진이 더 현실적이다"고 강조했다. 쿠클라 교수는 "러시아는 올해 GTI 의장을 맡았지만 러시아 언론에서 큰 관심을 받지 못하고 있다"며 "러시아 전문가들은 두만강개발계획을 실패로 평가한다"고 말했다. 그는 △북한의 GTI 탈퇴 △러일 관계 △국경 안전에 대한 러시아의 우려 등이 GTI의 성공을 가
전수미 숭실대 숭실평화통일연구원 교수는 "북한의 GTI 참여를 유도해야 한다"며 "다자협력과 남북경협을 통한 방안을 모두 제안하고 북한의 단계적인 GTI 복귀 및 일본의 GTI 가입을 통한 북한의 경쟁심을 자극해야 한다"고 말했다.
[연규욱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