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이 개헌 문제에 이어 선거제도 개편 관련 토론회를 열었습니다.
지역주의를 극복해야 한다는 점에서는 공감대가 이뤄졌지만 구체적인 개선 방향을 놓고는 목소리가 갈렸습니다.
김명준 기자입니다.
【 기자 】
정치개혁 3대 과제를 달성하려는 한나라당이 이번에는 선거제도 개편 문제를 집중 논의했습니다.
당 싱크탱크인 여의도연구소가 주최한 토론회에서는 지역주의 극복을 위해 현 선거구제에 대수술이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이뤄졌습니다.
이를 위해 현재 국회의원 정수를 유지하는 동시에 신인들의 정치권 유입을 위한 중대선거구제가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제기됐습니다.
▶ 인터뷰 : 권영진 / 한나라당 의원
- "지금 소선거구제로 가게 되면 지역당 자체가 사당화됩니다. 다른 사람들에 대한 진입 장벽이 굉장히 높습니다."
특히 중선거구제를 도입하면 선거비용도 줄일 수 있다는 장점도 거론됐습니다.
하지만 반론도 만만치 않았습니다.
중선거구제를 도입할 경우 대표성이 왜곡될 수 있다면서 현재 소선거구제의 장점을 살려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습니다.
▶ 인터뷰 : 이범래 / 한나라당 의원
- "오히려 중선거구제를 하게 되면 공천(권)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결국 계파를 형성할 수밖에 없고요, 선거활동에서도 계파 중심으로 선거활동을 할 수밖에 없습니다."
이런 가운데 여의도연구소가 발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68%가 국회의원 정수를 지금보다 줄여야 한다고 답했고, 적당하다는 의견은 17%, 늘려야 한다는 의견은 4.5%에 그쳤습니다.
특히 여권을 중심으로 제기되는 선거구제 개편 논의에 대해서는 "들어봤지만 내용을 잘 모른다"는 대답이 68%에 달해 선거제 개편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일단 여론조사를 놓고 보면 국민은 선거구제 개편보다 국회의원 수부터 줄여야 한다는 의견이 다수인 셈입니다.
한편, 한나라당은 재외국민의 '우편투표'를 허용하는 방안과 재외동포청 신설도 긍정적으로 검토하기로 했습니다.
MBN뉴스 김명준입니다.
< Copyright ⓒ m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