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청와대 방역기획관직을 신설하고 기모란 국립암센터 교수를 임명한 것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가장 논란이 되는 대목은 기 기획관의 ‘전문성’ 문제입니다.
기 기획관은 그동안 TBS 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에 50여 차례 출연해 “백신 구입은 서두를 필요가 없다” “우리가 방역 세계 1등” 같은 발언을 해왔습니다.
기 기획관은 코로나19 발생 초기 ‘김어준의 뉴스공장’에 출연하면서 이름을 알렸습니다.
지난해 2월부터 지난 4월 13일까지 총 54차례 출연했습니다.
기 기획관은 지난해 5월 20일 ‘김어준이 뉴스공장’에 출연해 트럼프 당시 미국 대통령이 모더나의 코로나19 백신 개발 소식을 직접 전했던 것을 두고 김어준 씨가 “연말까지 백신이 나올 수 있냐”고 묻자 기 기획관은 “어렵다”고 답했습니다.
이에 김씨가 “정치인의 블러핑으로 보이냐”고 묻자 기 기획관은 “그렇다”고 했습니다.
이뿐 아니라 기 기획관은 코로나19 백신 개발에 대해 “연말까지 만들어 내놓으면 안 쓸 것 같다. 좀 걱정스럽다”며 “확률이 좀 적다”고 까지 했습니다.
여기서 끝이 아니었습니다.
지난해 11월 화이자 백신의 효과가 90% 이상이라는 소식이 전해지자 기 기획관은 다시 방송에 출연해 “한국은 지금 일단 환자 발생 수준으로 봤을 때 (백신 구매가) 그렇게 급하지 않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기 기획관은는 또 “내년(2021년) 3~ 4월까지면 지금 3상 임상시험을 하는 백신이 10개 정도 된다”며 “많은 백신들이 계속해서 효과를 발표할 텐데, 더 좋은 게 나와도 화이자(백신 계약)을 해놓으면 물릴 수 없게 된다”고 말했습니다.
그러자 김어준 씨 역시 “화이자의 마케팅에 우리가 넘어갈 이유는 없다”고 맞장구쳤습니다.
12월에도 비슷한 대화가 오갔다. 우리 정부가 가장 먼저 많이 들여오기로 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이 정작 미 FDA 승인을 받지 못한 점에 대해 김씨는 “화이자, 모더나는 미국 회사들이다. 반면에 아스트라제네카는 영국회사”라며 “FDA 승인을 늦추는데 화이자, 모더나 같은 미국 회사가 힘을 쓴 측면도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이에 대해 기 기획관은 “그렇죠”라며 “아스트라제네카는 이미 여러 나라에 생산시설을 만들어서 이 백신으로는 이익을 보지 않겠다고 나온 반면에 모더나나 화이자는 이미 백신으로 이익을 얻겠다고 공언을 한 회사들”이라고 맞장구쳤습니다.
하지만 아스트라제네카는 여전히 미 FDA의 승인을 받지 못하고 있고, ‘혈전’ 등의 문제로 안전성에 대한 의심까지 받고 있는 상황입니다.
김 기획관은 새해들어 백신 접종이 전 세계적 화두로 떠오르자 ‘빠른접종’에 포커스를 맞춘듯한 메시지를 쏟아냈습니다.
기 기획관은 지난달 29일과 지난 2일 연달아 ‘김어준의 뉴스공장’에 출연해 일관되게 “백신 수급에 문제가 없다”는 주장을 내놨습니다.
“지금 우리가 2분기까지 약 1200만 명 대상으로 예방접종을 목표를 잡고 하고 있는데 지금 들어오기로 한 아스트라제네카하고 화이자만 계산해도 충분히 가능하다”면서 “방역 당국 목표대로 집단면역을 형성하는 데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야당은 “방역에 대한 기본적 이해가 부족한 사람에게 방역 총괄을 맡기냐”는 입장입니다.
코로나 백신 접종률이 다른 선진국보다 현저히 낮은데도, 현실과 동떨어진 발언을 하며 정부 방역을 홍보해왔다는 비판입니다.
야당은 기 기획관 남편의 과거 이력도 지적하며 임명 철회를 요구하고 나섰습니다.
기 기획관의 남편인 이재영 전 대외경제정책연구원장은 지난해 4월 총선 당시 경남 양산갑에서 더불어민주당 후보로 출마했다가 낙선했습니다.
양산갑은 문 대통령의 사저가 있는 곳입니다.
이 때문에 정치적 보은 성격의 인사라는 주장이 나옵니다.
이에 대해 청와대는 사회수석실 산하 사회정책비서관의 업무 중 ‘방역’만 떼어내 방역기획관을 만든 것이고, 기 기획관 영입은 전문성을 제고하기 위한 취지였기 때문에 문제가 될 것이 없다는 입장입니다.
하지만 논란은 계속되고 있고 기 기획관의 임명 철회를 요청하는 청와대 국민청원까지 올라왔습니다.
청원인은 지난 19일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 “기 기획관이 코로나19에 대한 방역 대책과 국민의 이해 증진에 기여하기도 했다”면서도 “한편으로 정부의
해당 청원은 사전 동의 100명을 넘어 현재 관리자 검토를 위해 비공개 처리된 상태입니다.
[ 이상은 디지털뉴스부 기자 / leestellaaz@gmail.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