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수영 유경준 국민의힘 의원 2021.4.15 [이승환 기자] |
▶유경준 의원(이하 유) = 우리가 잘해서 이긴 선거는 아니라고 본다. 시민들이 느끼는 정부의 일자리 정책 실패, 부동산 정책 실패가 너무나 커서, 저쪽에서 아무리 네거티브 공세를 해도 어떻게 덮을 엄두도 못냈다. 아쉬운 점은 야당으로서 정책 대안을 제시하고 평가받는 과정이 있었어야 했는데, 네거티브에 덮여 그런게 안보였다.
▶박수영 의원(이하 박) = 본선에 가니 생태탕과 페라가모, 엘씨티 외에 남는게 없다. 시민들에게 수많은 정책을 내보이고, 평가받고, 꿈과 희망도 주는 과정이 됐으면 좋았을텐데, 미래에 대한 암울한 얘기만 계속 하고 각인돼 안타까웠다.
▶유 = 우리 당 입장에선 이번에 얻은 그분들의 표심을 잘 지키고 잡아서 내년 대선까지 이어가야 한다고 생각한다. 젊은 층이 공감할 수 있는 경제 정책을 세우고, 성장에 대한 담론을 이야기하고, 일자리 창출을 할 수 있는 방안 등을 아주 구체적으로 이야기해 지금 얻은 표를 지켜야 한다. 제 지역구 강남병은 전국에서 가장 보수적인 색채가 강한 곳임에도 불구, 작년 총선 선거운동 때 젊은 층은 눈도 안마주치려 하고 무심했다. 이번에는 훨씬 더 열렬한 지지를 느꼈다. 제가 작년 총선때 65.4% 지지율로 이겼는데, 이번에 오세훈 서울시장은 78.3%로 이겼다. 공정의 문제, 부동산 문제, 그에 따른 세금문제가 기폭제가 됐고, 문재인 정부가 이걸 해결못한다면 내년 대선 때 더 큰 차이로 이길 수 있다고도 봤다.
▶박 = 부산의 경우 이 정부 인사들의 '내로남불' 행태가 20대의 분노를 불렀다. 부산 사람들 화끈하다. 무능은 참아도 위선은 못참는다. 저쪽이 아무리 네거티브 공세를 펼쳐도, 후보간 격차가 안줄어든 건 그런 것들이다. 또 부산의 20대들이 일자리 문제로 너무나 고통받고 있다. 우리나라 100대 기업 중에 르노삼성 하나만 부산에 있는데, 그마저도 어렵다. '소주성(소득주도성장)'으로 청년은 '알바'도 잃었다. 부산에서 가장 가고 싶어하는 곳이 부산대 의학전문대학원인데, 거긴 조국 전 장관 딸인 조민이 엉터리로 들어갔다. 20대의 분노와 기타 연령층의 현 정권 위선에 대한 분노를 봤다.
▶유 = 우리의 정책을 알리고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홍보할 방법을 많이 개발해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정책이 진짜 중요한데 너무 어렵다보니 잘 와닿지 않는다. 지금부터 준비해야 할것 같다. SNS나 온라인 채널 이용도 강화하고, 쉬운 언어로 다가가야 한다. 후보 선출에 있어선 '미스터트롯'과 같은 경선 방식이 최선이라고 보지만, 그 과정속에서 토론의 룰세팅은 좀 바꿀 필요가 있다. 오세훈 서울시장과 박영선 더불어민주당 후보간의 3차 토론회에서 보면 정책은 없고 '닭싸움' '물고 뜯기'만 남았다. 국민들이 정치에 실망만 할 뿐이다. 네거티브에도 대비를 해야 한다. 사전에 우리 당 후보 검증을 철저하게 해야 한다. 얼마전 '미스트롯'에서도 한 출연자가 '학폭'으로 하차했다. 모든 네거티브가 다 나쁜건 아니다. 근거가 있는 건 미리 검증해 사전에 걸러내거나, 반박할 근거를 충분히 만들어야 한다.
▶박 = 나는 스탠딩 방식의 주제없는 토론이 이번에 흥미를 불러일으켰다고 생각한다. 청년유세단도 마찬가지였다. 이런 부분은 내년 대선에서도 이어져야 한다. 하나 더 제안하고 싶은 것은, 코로나가 좀 진정이 된다는 가정하에서지만 '타운홀 미팅'을 계속 하자는 것이다. 구청 등 관공서에서 장소를 빌려주고, 후보와 당이 일반 주민들하고 아무 제한없는 질문과 답변을 나누며 '민낯'을 보여주면서 평가받는 것이다. 방송국에서 몇분 말하고 답변하는 식의 토론은 이제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 정책공약은 거대 이념이나 담론이 아닌 생활이슈로 접근해 나가는 것도 필요하다고 본다. 개인적으로 'BM(비포 문재인)'으로 가야한다고 본다. 일자리, 부동산, 공정…. 모두 이전상태로 돌려야 한다고 생각한다.
▶유 = 일년 뒤 정권을 되찾아오는 것, 거기에 도움이 되는 '당내 민주화'가 필요하지 않을까. 무조건 다 말할 수 있는 게 민주화가 아니다. 자신의 이해관계만 앞세우고, 사실을 왜곡하는 발언을 막 자유롭게 하는게 민주화가 아니라고 생각한다. 예를 들면 우리가 전국정당이 되야 한다는 것, 이건 당연한 전제이고 대명제다. 젊은 층 표심 잡아야 한다는 것도 마찬가지다. 그런데 이걸 갖고 특정 지역 배제라고 하고, 지역 갈라치기 하는 건 자유로움이나 민주화가 아니라 구태다. 우리 당도 그런 면에서 극복해야 할 '당내 민주화'과정이 있다.
▶박 = 우리당 민주화 점수는 60점 정도 주고 싶다. 초선들이 자유롭게 이야기할 수 있느냐, 그 점에선 점수 높지만, 그렇게 말한 초선들의 뜻이 실제 반영되느냐, 그 부분에 있어선 점수가 낮다. 의원총회에서 초선들 다 자기 의견 자유롭게 얘기하는데, 원내 지도부는 나중에 '어, 잘 들었다. 이제부터 우리가 알아서 할게' 이런 식이다. 당내 민주화가 잘 안되는 이유에 대해 생각해보면 결국엔 공천권 때문이다. 중앙당이 공천권을 쥐고 있어서 제대로 말을 못한다. 그렇다고 지역에 다 줘버리면 인지도 있는 사람이 나와서 계속 하는 문제가 생길 수 있고. 그래서 지역일꾼은 3번까지만 할 수 있게 제한을 둔다든지 하는 공천권 손질이 필요하다고 본다.
▶유 = 지난 1년간 초선 모임을 통해 '초선 일동' 명의로 성명서도 내고 해왔지만, 선거를 2번 치루면서 이제 초선도 분화하고 있다. 이제 초선들도 각자 갖고 있는 생각도 다르고, 서로 무슨 생각하는지도 어렴풋하게나마 다 안다. 초선 내부에서도 그룹을 지어서 개혁의 촛점을 어디에 맞출지 등을 고민하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고, 일부 모임은 활발하다. 초선의 개혁에 촛점을 맞출 것이 아니라, 생각과 지향점이 같은 사람들이라면 누구나 모여서 개혁에 동참해야 한다. 그렇게 되면 오히려 당이 더 탄탄해질 것 같다
▶박 = 과거 '남원정(남경필·원희룡·정병국 전 의원)'이나 민본21 같은 초선 모임이 가능했던 건 당내에 주류 계파가 있었기 때문이고, 이 계파들을 계속 비판하고 대안을 제시하면서 왔기 때문인데, 현재 우리 당엔 계파가 없다. 그렇기에 이제는 과거처럼 '밖에서 개혁하는' 초선이 아니라 지도부 내로 들어가서 개혁의 주체가 되는 초선의 모습이 필요하다고 본다.
▶유 = 주류계파는 없지만 아직도 우리 당에는
▶박 = 국민의 정당이 되어야지. 세대별로도 고른 지지를 받고, 지역도 전국구, 남과 여, 성별로도 모두 지지받아야 한다. 특정 지역, 특정 성별, 특정 연령대로부터 지지받는 정당은 더 이상 안된다.
[박인혜 기자 / 박제완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