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욱 초대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처장 후보자가 오늘(31일) 첫 출근하면서 본격적인 인사청문회 준비에 돌입했습니다.
다만 야당이 `송곳 검증'을 예고한 상황에서, 청문회를 준비할 인력이 부족해 대응이 다소 버거울 수도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김 후보자의 인사청문회 준비는 국무총리실 산하에 설치된 공수처설립준비단이 진행하게 됩니다. 일단 준비단은 인사청문 요청서 준비에 착수했습니다. 요청서에는 병역과 재산, 최근 5년간의 소득세·재산세·종합토지세 납부·체납 실적, 범죄경력 등이 포함돼야 합니다.
준비단은 이후 국회의 질문에 대한 인사청문회 서면답변 자료도 준비해야 합니다. 청문회 개회 5일 전까지 국회가 보낸 질의에 개회 48시간 전까지 답변서를 제출해야 하기에 만만치 않은 작업입니다.
문제는 준비단의 인력이 부족해 준비가 버거울 수 있다는 점입니다. 야권은 이미 그가 이번 정부에서 법무부 인권국장에 지원하는 등 친정권 성향을 보인다며 정치적 중립성에 문제를 제기하고 있습니다.
1999년 조폐공사 파업유도 사건 특검에서 특별수사관으로 활동한 것 외에는 수사 경험이 없는 데다 조직 운영 경험도 없다는 점 등을 들며 자질 문제를 집중적으로 공격하겠다는 방침입니다.
하지만 준비단의 인원은 남기명 단장을 비롯해 총 12명에 불과합니다. 애초 법무부 등 9개 부처에서 25명이 파견됐지만, 조직·업무체계·청사 마련 등의 준비를 마친 뒤 인원이 절반 이상 줄었습니다.
후보자 지명 시 적게는 20여명, 많게는 50명까지 청문 준비에 나서는 다른 부처와 비교하면 인력이 태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공수처장이 차관급이라 직접 비교하기는 어렵지만, 김 후보자와 같은 날 지명된 박범계 법무부 장관
준비단 관계자는 "12명으로는 청문회 준비가 빠듯하기 때문에 국무총리실에서 추가 인원을 파견받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