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과 노동계의 비정규직법 해법 찾기는 여전히 미로 속입니다.
정치권은 비정규직법 유예 기간을 두고 타협점을 찾고 있지만, 노동계는 법 시행 유예는 절대 받아들일 수 없다고 맞서고 있습니다.
보도에 김재형 기자입니다.
【 기자 】
마라톤 회의가 연일 계속되고 있지만, 비정규직법의 합의점은 여전히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
쟁점인 비정규직법 시행 유예기간을 한나라당은 애초 3년에서 2년으로 제시했고, 민주당은 노총 합의를 전제로 6개월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하지만, 양대 노총은 법 시행 유예를 절대 받아들일 수 없다며 맞섰습니다.
▶ 인터뷰 : 장석춘 / 한국노총 위원장
- "법 시행의 유예를 전제로 만들어진 5인 연석회의라면 아예 참여하지도 않았을 것이며, 이는 지금도 마찬가지입니다."
5인 연석회의를 언제까지 할 것이냐도 의견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 인터뷰 : 김재윤 / 환노위 민주당 간사
- "오늘 만약 합의가 안 되면 일단 큰 가닥을 잡고 내일모레까지 꼭 합의할 수 있도록 했으면 좋겠습니다."
▶ 인터뷰 : 조원진 / 환노위 한나라당 간사
- "관념의 문제고 결정의 문제지 시간의 문제가 아니고 결정을 할 때는 빠른 결단을 내려야 합니다."
한나라당은 오늘 합의안이 나오지 않더라도 이달 말까지 비정규직법 개정안을 처리할 방침이지만, 민주당은 연석회의 타결 없이는 법안 처리에 협조할 수 없다는 입장입니다.
따라서 5인 연석회의에서 합의안이 나오지 않는다면 비정규직법을 국회 본회의에서 처리할 때 여야 충돌도 불가피할 전망입니다.
하지만, 여야는 물론 노동계도 비정규직 대량 해고 현실화에 대한 부담이 만만치 않아 막판 극적 타결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MBN뉴스 김재형입니다.
< Copyright ⓒ m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