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28일 최근 코로나19 백신 도입을 둘러싼 논란과 관련해 "우리나라가 백신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했다거나 접종이 늦어질 것이라는 염려가 일각에 있는데 사실이 아니다"고 밝혔다. 문대통령은 28일 청와대에서 열린 올해 마지막 수석보좌관회의에서 "정부는 여러 달 전부터 범정부 지원체계를 가동하며 전문가들의 의견을 들어 백신확보에 만전을 기해왔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백신 접종의 전략과 목표에 대해 여러 차례 밝혀왔고 당초의 방침에 따라 차질 없이 진행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최근 미국 등 주요 선진국들이 백신 접종에 돌입하면서 우리나라가 백신 확보 초동 대처에 실패한게 아니냐는 비판이 있어왔는데 이같은 우려를 일축한 것이다.
특히 문대통령은 "이미 충분한 물량을 확보했고 돌발상황을 대비한 추가 물량 확보를 추진하고 있다"며 "백신 도입시기를 더 앞당기는 노력도 기울이고 있으며 접종 준비도 철저히 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현재 아스트라제네카, 화이자, 얀센 등으로부터 4600만명분의 백신을 도입하기로 계약했고 추가로 2000만명분 확보를 추진하고 있다. 또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시작으로 내년 2월부터 의료진과 노인요양시설 등의 집단수용자들을 대상으로 우선 접종에 나설 계획이다.
![]() |
↑ 청와대 수석보좌관회의를 주재하고 있는 문재인 대통령. [사진 출처 = 청와대] |
문대통령은 국산 백신과 치료제 개발에도 기대감을 나타냈다. 문대통령은 "국산 백신 개발에 대한 지원도 소홀히 하지 않고 있다"며 "코로나 장기화에 대비해 백신주권을 확립하는 차원에서도 꼭 필요한 일"이라고 말했다. 이어 "코로나를 완전히 종식시키고 일상으로 온전히 복귀하기 위해서는 방역과 백신, 치료의 세 박자가 모두 갖춰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대통령은 또 "국산 치료제 개발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며 "정부는 백신 개발에 있어서는 아직 세계수준과 차이가 있지만 치료제는 뒤처지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을 그동안 밝혀왔고 현재까지 차질 없
[임성현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