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당과 산재 사망사고 유가족들이 중대재해기업 처벌법 제정을 촉구하며 무기한 단식 투쟁에 돌입했습니다.
미적대던 더불어민주당은 1월 10일까지 열리는 임시국회 안에 상임위원회까지는 통과시키겠다고, 또 약속했습니다.
김순철 기자입니다.
【 기자 】
매서운 추위 속에서 국회 본청 앞으로 사람들이 삼삼오오 모여듭니다.
정의당과 산재 사망사고 유가족들이 중대재해기업 처벌법 제정을 촉구하며 무기한 단식 농성에 들어간 겁니다.
▶ 인터뷰 : 강은미 / 정의당 원내대표
- "정의당과 국민을 대표해 국회 단식 농성을 시작하려 합니다. 말뿐인 중대재해기업 처벌법으로는 노동자를 살릴 수 없습니다."
2년 전 컨베이어 사고로 숨진 24살 김용균 씨의 어머니도 단식에 동참했습니다.
▶ 인터뷰 : 김미숙 / 고 김용균 씨 어머니
- "제가 할 수 있는 최후의 수단입니다. 법이 제대로 만들어질 때까지 피눈물 흘리는 심정으로 단식을 할 겁니다."
중대재해기업 처벌법은 산재 사망 사고가 나면 기업주나 경영자를 처벌하고 징벌적 손해배상을 가능하게 한 것이 핵심입니다.
정기국회에서 처리하겠다고 약속했던 민주당은 이번 임시국회에서 일단 상임위 통과를 목표로 삼았습니다.
▶ 인터뷰 : 최인호 / 더불어민주당 수석대변인
- "최대한 이번 임시국회 내에 상임위에서 중대재해처벌법을 통과시킨다는 목표로 심도 깊은 논의가…."
정의당이 발의한 중대재해법이 사업주에 대해 과도한 처벌이란 지적이 나오면서, 처벌 범위 등을 놓고 검토가 필요하다는 입장입니다.
국내 산재 사망자는 한 해 2천 4백 명, 하루 평균 7명이 일터로 나간 뒤 집으로 돌아오지 못하는 것으로 파악됩니다.
MBN 뉴스 김순철입니다. [liberty@mbn.co.kr]
영상취재 : 김준모 기자
영상편집 : 양성훈
#MBN #중대재해기업처벌법 #더불어민주당 #정의당 #무기한단식 #김순철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