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창일 일본 주재 한국대사 내정자가 '쿠릴열도', '천황' 등 일본과 관련 과거 논란이 됐던 자신이 했던 발언에 대해 일본 언론에 해명했다고 요미우리신문이 2일 보도했다.
요미우리신문에 따르면 강 내정자는 전날 서울 시내에서 일본 언론 취재에 응했다.
강 내정자는 야당 의원 시절이던 2011년 5월 쿠나시르(일본명 구나시리)를 방문했을 때 취재진에게 한 것으로 알려진 '북방영토는 러시아 영토' 발언에 대해 "러시아에 빼앗겨 점유(占有) 당했다는 취지로 말했는데 잘 전달되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북방영토는 현재 러시아가 사할린주(州)에 편입해 실효 점유 중인 하보마이, 시코탄, 구나시리, 에토로후 등 남쿠릴 4개 섬에 대해 영유권을 주장하는 일본이 부르는 말이다.
구 소련은 일본과 독일을 상대로 한 2차 세계대전(태평양전쟁)에 전격 참전한 뒤 1945년 8월 15일의 일본 항복 선언 직전에 이들 섬을 점령했다.
1956년 일본과 체결한 평화조약에서 러시아는 4개 섬 가운데 하보마이와 시코탄을 넘겨주기로 했으나 지금까지 미해결 쟁점으로 남아 있다.
강 내정자는 또 지난해 2월 문희상 당시 국회의장이 위안부 문제와 관련해 '일왕 사과'를 요구하는 발언을 한 뒤 자신이 일부 언론 인터뷰를 통해 "(문 의장 발언은) '천황'(天皇·일본어 발음 '덴노')이 옛 위안부를 위문(慰問)했으면 좋겠다는 것이 취지였다"고 말했던 것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강 내정자는 "(당시 인터뷰에서 언급한 것은) 문 의장 생각을 설명한 것일 뿐이었다"면서 "일본에서 천황의 존재, 역할에 대해 무지(無知)한 발언이었다고 생각한다"는 말했다.
이후 문 전 의장은 지난해 6월 방한한 하토야마 유키오(鳩山由紀夫) 전 일본 총리를 만난 자리에서 해당 발언에 대해 "마음을 상한 분들에게 미안함을 전한다"며 사과했다.
강 내정자는 작년 10월 KBS 라디오에서 '천황'에 대해 "한국에선 일왕이라고 하자"라고 말한 것에 대해선 "(주일) 대사로 부임하면 천황이라고 부르지 않으면 안 될 것"이라고 말했다고 요미우리신문은 전했다.
현재 한국에서는 격이 낮은 '일왕'이 일반적으로 통용되지만, 외교당국 차원에선 일본이 공식적으로 쓰는 '천황(天皇·일본 발음 '덴노')'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한편, 일본 네티즌들은 강창일 일본 주재 한국대사 내정자에 대해 신뢰할 수 없다는 반응을 보였다.
아이디 tak*****를 쓰고 있는 한 네티즌은 "(강 내정자는) 일본 비판에 앞장선 분"이라며 "일본정부는 대사로서 승인해주면 안된다"고 강조했다.
다른 네티즌(ovj*****)은 "
또 다른 네티즌(pxp*****)은 "(강 내정자가) 해명해도 발언 자체가 없어지는 것은 아니어서 신뢰할 수 없는 인물임에 틀림없다"고 지적했다.
[맹성규 기자 sgmaeng@mkinternet.com]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