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이 오늘(24일) "북한이 핵을 절대로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가져간다면 우리도 핵무장에 대해 생각을 다시 해볼 필요가 있지 않나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김 위원장은 이날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서울외신기자클럽 초청 간담회에서 '핵무장 논란'에 대해 미국의 핵우산 제공과 주한미군의 핵무기 재반입이 불가능한 경우를 전제로 이같이 밝혔습니다.
그는 또 "미국 조 바이든 정부가 북한과 비핵화 협상을 시작한다고 해도 지금까지 북한의 태도를 볼 때 큰 진전이 있으리라고 보지는 않는다"며 "바이든 정부 출범 이후에는 현 정부가 추진하는 대북정책이 종전과 똑같은 방식으로 유지되기는 힘들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일제 강제징용 배상 문제와 관련해서는 "한일 양국 정상이 보다 높은 차원에서 만나서 해결하는 것이 해법"이라는 견해를 밝혔습니다.
김 위원장은 일본 산케이신문 기자로부터 관련 질문을 받자 "우리 정부 입장은 대법원 판결을 존중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고, 일본 측 주장은 1965년 한일 국교 정상화 때 협약을 들어 국제법상 이미 해결된 문제라는 것"이라며 "양쪽이 전부 법적인 판단에만 고집을 부린다면 이 문제는 해결될 수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미-중 갈등 하에서 한국의 외교적 입장'을 묻는 말에는 "굳건한 한미동맹 관계를 기반으로 해서 중국과 우리를 별도의 관계로 유지하는 게 대한민국이 취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이라고 답했습니다.
이어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 등 미국이 추구하는 가치와 우리가 추구하는 가치가 거의 같은 입장에 있고 오랜 동맹관계를 갖고 있기 때문에 이를 외교의 지평으로 삼을 수밖에 없다"면서 "중국과 우
김 위원장은 이명박 박근혜 두 전직 대통령의 사면에 관한 질문에는 "두 전직 대통령의 옥중생활에 걱정을 안 하는 것은 아니지만, 사면은 오로지 대통령의 결단만이 결정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논의하기가 굉장히 어려운 상황"이라고 답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