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오늘(17일) '공시지가 6억 원 이하'에 보유세 혜택을 주기로 한 결정 배경에 대해 "김태년 원내대표는 9억을 주장했고, 한정애 정책위의장은 6억을 주장했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당정청은 재산세 감면 기준을 두고 정부안인 6억 원과 민주당안인 9억 원을 두고 갈등을 빚은 바 있습니다. 그러나 결국 정부안인 6억 원으로 결정했고, 그 배경에는 문 대통령의 의지가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와 관련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간사 고용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난 5일 보유세 혜택 기준을 `공시지가 6억 원 이하`로 결정한 것에 대해 "특히 문재인 대통령이 나서 6억 원 기준을 강하게 말씀하셨다"고 직접 나서 전하기도 했습니다.
이 대표는 이날 오전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관훈토론에서 공시지가 6억 원 기준 결정에 문 대통령의 의중이 강하게 작용했다는 일각의 주장에 대해 "당·정·청 내 어떤 사람들끼리는 9억 어떤 사람은 6억을 주장했다"며 "공시지가를 낮춰서 결정했다는 건 정확하지 않는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어 `정부가 부동산 대책을 내놓는 것마다 실패한다`는 지적에는 "가장 뼈 아프게 생각하는 문제"라며 "우리 사회의 변화를 충분히 예측하지 못했다"고 평가했습니다.
이 대표는 "작년 10월부터 지난달까지 통계를 보면 서울시 인구는 4만 명이 줄었는데 가구 수는 9만6000가구가 늘었다"며 "가구분리·1인 가구가 폭발적으로 늘어난 건데, 충분한 대비를 못한 게 정부·서울시의 큰 패착"이라고 안타까움을 전했습니다.
또 그는 "주거는 다른 상품과 다
그러면서 "계약갱신 제도가 급속히 변화해 그대로 눌러 살고자 하는 계약 갱신이 늘어서 공급이 줄어 들면서 수요자들이 더 어려움을 겪게 됐다"고 분석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