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른바 '피의자 휴대전화 비밀번호 공개법안'을 놓고 논란이 커지자 추미애 법무부 장관이 직접 진화에 나섰습니다.
확정된 게 아니라 검토 단계라는 건데요. 국회 법사위에서의 발언, 직접 들어보겠습니다.
▶ 인터뷰 : 추미애 / 법무부 장관
- "디지털 시대에 대비한 디지털 롤(역할) 좀 연구해야 되지 않느냐…."
▶ 인터뷰 : 전주혜 / 국민의힘 의원
- "연구 단계라는 말씀이세요? (그렇죠.) 아직 법안을 낼지 말지는 확정된 건 아니란 말씀이십니까? (네.)"
이 법을 놓고 법조계는 물론 여권 내에서조차 "반헌법적"이라거나 "국민적 공감대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오자 한발 물러선 것으로 보입니다.
반면 추 장관은 '검찰 개혁'에 대해서는 '맹세'라는 단어를 사용하며 다시 한번 당위성을 강조했습니다. 들어보시죠.
▶ 인터뷰 : 전주혜 / 국민의힘 의원
- "서울시장이나 대선 출마 의향은 없으세요?"
▶ 인터뷰 : 추미애 / 법무부 장관
- "그런 의지가 없습니다. 표명하지 않는 게 아니고 검찰 개혁하기 전까지는 그런 정치적 욕망·야망 갖지 않기로 제가 맹세를 하고 이 자리에 앉아 있는 겁니다."
▶ 인터뷰 : 전주혜 / 국민의힘 의원
- "그러면 장관직 그만둔 다음에는 그렇게 할 수도 있다는 말씀이세요?"
▶ 인터뷰 : 추미애 / 법무부 장관
- "그거야 알 수가 없고 일단 검찰 개혁이 완수될 때까지는 장관직을 내려놓지 않을 겁니다."
한편, 검찰 특활비와 관련해 추 장관은 "총장 쌈짓돈으로 돼 있는 게 50억 원에 이르며 너무 자의적으로 쓰고 있다"며 윤석열 총장을 또다시 직격했습니다.
지금까지 김주하 AI 앵커가 전해드렸습니다.
#국회법사위 #비번공개법 #피의자휴대전화비밀번호공개법 #추미애 #법무부 #전주혜 #국민의힘 #검찰개혁 #서울시장 #윤석열 #검찰총장 #특활비 #김주하AI앵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