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출장 중인 강경화 장관이 8일(현지시간) 조 바이든 행정부는 버락 오바마 행정부 때처럼 북한에 대해 '전략적 인내' 정책으로 회귀하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강 장관은 이날 워싱턴DC에 있는 6.25 전쟁 참전 기념공원을 찾아 헌화한 뒤 취재진을 만나 이같이 밝혔다. 강 장관은 바이든 당선인의 대북정책이 과거 오바마 행정부 시절로 회귀하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 "바이든 쪽 여러 인사가 공개적으로 하는 얘기를 들어보면 그때의 전략적 인내로 돌아간다는 것은 아닐 것 같다"며 "지난 3년간 여러 경과나 성과를 바탕으로 만들어가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바이든 행정부는 실무협상에서 구체적인 안을 마련한 뒤 정상회담에서 최종 합의에 이르는 '바텀업' 방식을 채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정상끼리 먼저 만나는 '탑다운' 방식을 견지해온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와는 상반된 기조다. 이 때문에 미북 협상이 지지부진할 것이란 예측도 나오나 중간에서 한국 정부의 중재자 영역이 더 확대될 것이란 낙관적 전망도 나오고 있다.
강 장관은 미국 방문 기간 중 바이든 당선인측과의 접촉 여부와 관련해선 "우리 정부로서도 대통령이 공개적으로 (당선을) 축하해주신 상황이고, 지금까지 조심스레 했던 부분에서도 앞으로는 더 적극적으로 할 수 있는 상황이 될 것 같다"면서도 "아마 만난다 해도 그쪽에서 조심스러운 면이 있어 공개적으로 하진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대선 결과에 불복하는 상황이지만 사실상 바이든 당선인이 승리를 확정한 만큼 물밑 접촉을 시도할 것이라는 얘기다. 강 장관은 11일까지 나흘 간의 출장 기간 바이든 당선인의 최측근인 크리스 쿤스 상원의원, 국방장관 후보로 거론되는 미셸 플러노이 웨스트이그젝 어드바이저스 설립자 등을 만날 것으로 전해졌다.
9일에
[안정훈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