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대선이 혼전 양상을 이어가는 가운데 청와대 역시 오늘(5일) 시시각각 전달되는 개표 상황에 온 신경을 집중한 모양새입니다.
선거 결과에 따라 남북관계는 물론 한국의 외교정책 전반이 크게 출렁일 수밖에 없어 문재인 대통령으로서도 예의주시할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청와대는 현재 미국 대선과 관련한 공식적인 언급은 삼가고 있습니다.
승패가 확실하게 갈리기도 전에 성급하게 메시지를 낼 경우 득보다는 실이 훨씬 클 수 있다는 판단에서입니다.
하지만 물밑에서는 모든 경우의 수에 맞춰 대응 시나리오를 마련하는 등 분주하게 움직이는 기류가 감지됩니다.
서훈 국가안보실장은 전날 국회 운영위 국감에서 '미국 대선에서 어느 후보가 당선되는지에 따라 대응 방안을 미리 준비해 놨나'라는 질문에 "나름대로 최선을 다해 준비해 놨다"고 했습니다.
'어느 후보가 당선됐을 때의 페이퍼가 더 두껍나'라는 물음에는 "(양쪽 모두) 상당량이 될 수밖에 없다"고 답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주요 외교·안보 라인은 이날 오후 청와대에서 열리는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 회의에서 시나리오별 전략을 공유할 것으로 보입니다.
전날에 이어 이날 공식 일정을 잡지 않은 문 대통령 역시 상황에 따라 외교·안보분야 관계 장관들과 회의를 열고 이후 대응을 논의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정상통화를 비롯한 향후 소통계획 역시 이 자리에서 점검해볼 가능성이 있습니다.
청와대 내에서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재선에 성공하든, 조 바이든 민주당 후보가 승리하든 한미 소통과 공조에 차질이 없어야 한다는 데 공감대가 이뤄져 있습니다.
그래야만 문재인
한편 전날 국회 운영위 국정감사 도중 자가격리를 위해 이석한 김현종 국가안보실 2차장은 이날 오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검사 결과 음성판정을 받았으며, 이에 따라 이날 예정된 회의들에 참석할 것이라고 청와대 측이 설명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