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혁신위원회가 정치 양극화 극복을 가장 큰 어젠다로 제시했다. 내년 4월 서울·부산시장 재보궐선거에 대해서는 전혀 관여하지 않겠다고 선을 그었다.
26일 민주당은 최고위원회를 열어 '더(The)혁신위원회' 위원을 임명하고 구체적인 활동 계획을 밝혔다. 김종민 혁신위원장은 기자회견을 통해 민주당을 정치양극화를 극복하고 사회적 합의를 선도하는 포용정당으로 만들겠다고 했다.
구체적으로 김 위원장은 '조국 사태' 이후 분열된 정치 지형을 극복하는데 힘쓰겠다고 했다. 그는 "정치가 서초동과 광화문으로 분열돼있는 국민 여론을 하나로 모아가고 합의를 만들어가는 힘을 발휘하고 있지 못하다"며 "'시간이 지나면 해결될 거다', '총선 결과가 나오면 해결될 거다'라고 했지만 총선에서 표로 민심이 표출되고 의석이 정해졌는데도 양극화된 정치는 해결이 안됐다"고 했다. 이어 "정당의 노력과 혁신을 통해서 민주적 합의를 이뤄나갈 수 있는 동력을 만들지 못하면 다양한 이해충돌 극복하기 어렵다"며 "그런 인식에서 정치 양극화를 극복하고 민주적 합의가 가능한 나라로 만들어야한다"고 했다.
한편 혁신위는 내년 4월 재보선과 내후년 대통령 선거 경선에 관한 사항은 다루지 않겠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관련된 논의를 의식한 듯 "혁신위가 내년 4월 재보궐선거와 어떻게 연관이 있냐고 묻는데 기본적으로 재보궐이나 내후년 대선 경선과 관련된 규정이나 시스템을 다루진 않는다"고 못박았다. 그는 "(관련 시스템은) 이미 정해져있고 정해진 것을 고치는 것은 선관위에서 필요하다면 논의할 일"이라고 했다.
다만 "당을 혁신하겠다는 방침을 세우고 실천 과제들을 세워서 해 나가면 내년 재보궐선거나 내후년 대선 결과에 기여할 것이라는 생각은 한다"고 했다.
혁신위원엔 원내외인사 8명이 임명됐다. 원내에선 김민석, 권칠승, 이용우, 이탄희, 오기형, 홍정민 의원이, 원
혁신위는 활동기한을 내년 6월까지로 정했다. 전반기 활동은 내년 2월까지로 단기 실현과제를 중심으로 논의할 계획이다. 이후 6월까지는 내후년 대선과 맞물려 해결해야할 굵직한 과제들을 논의하겠다고 했다.
[이석희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