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의 국정 수행 지지율이 43%를 기록했다. 이 수치는 지난주 대비 4% 감소한 것이다. 하지만 코로나19 대처 능력을 높이 평가한 응답 비율은 소폭 증가했다.
한국갤럽은 23일 지난 20일부터 사흘간 전국 18세 이상 100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문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도는 43%로, 지난주보다 4%포인트 하락했다고 발표했다.
부정 평가는 3%포인트 상승한 45%로, 부정 평가가 긍정 평가를 앞섰다.
문 대통령을 지지하는 이유로는 '코로나19 대처'가 32%로 가장 많았다. 이는 지난주(29%)에 비해 3%포인트 늘어난 수치다.
이어 ▲전반적으로 잘한다(6%), ▲최선을 다함·열심히 한다(5%),▲복지 확대(5%), ▲서민 위한 노력(4%), ▲북한 관계(4%), ▲기본에 충실·원칙대로 함·공정함(3%), ▲소통(3%), ▲외교/국제 관계(3%) 등이 뒤를 이었다.
문 대통령의 국정 수행 능력을 부정적으로 평가한 가장 큰 이유는 '부동산 정책'(14%)이 꼽혔다.
이어 ▲경제·민생 문제 해결 부족(11%), ▲전반적으로 부족하다(9%), ▲인사(人事) 문제(8%), ▲북한 관계(6%), ▲공정하지 못함/내로남불(5%), ▲독단적/일방적/편파적(5%), ▲코로나19 대처 미흡(3%) 등의 순이었다.
일각에선 부정적 평가가 더 높은 이유로는 최근 금융 사건인 라임·옵티머스 때문이라는 의견이 나왔다. 긍정 평가를 높이기 위해서는 더불어민주당이 특검
여당인 더불어민주당 지지도는 지난주보다 3%포인트 내린 35%로 조사됐다. 이어 국민의힘 17%, 정의당 6%, 열린민주당 4%, 국민의당 3% 순이었다.
무당층은 3%포인트 늘어난 34%로, 4월 총선 이후 최대 규모로 나타났다.
[박완준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