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8일 "종전선언이야말로 한반도 평화의 시작"이라며 "한반도 종전선언을 위해 한미 양국이 협력하고 국제사회의 적극적인 동참을 이끌게 되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날 코리아소사이어티의 화상 연례만찬 기조연설에서 이같이 말했다. 코리아소사이어티는 한미 간 정치·경제·문화·예술 분야 교류 촉진을 위한 비영리단체다.
문 대통령은 지난달 23일 유엔총회 기조연설에서도 종전선언 필요성을 역설했다. 하지만 연설 전 서해상 공무원이 북한군에게 피살된 사실이 알려지면서 종전선언에 대한 여론은 싸늘했다.
따라서 문 대통령의 이날 발언은 부정적 여론에도 불구, 종전선언을 발판 삼아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동력을 되살리겠다는 의지를 재차 확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문 대통령은 "지난 2018년과 2019년 남북 정상회담과 북미 정상회담으로 한반도 평화프로세스의 실질적인 진전이 있었지만, 지금은 대화를 멈춘 채 호흡을 가다듬고 있다"며 "어렵게 이룬 진전과 성과를 되돌릴 수는 없으며, 목적지를 바꿀 수도 없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적극적으로 평화를 만들고 제도화할 때 우리의 동맹은 더욱 위대해질 것"이라며 '평화는 의견을 조금씩 나누고 바꿔가며 장벽을 서서히 무너뜨리고, 조용히 새로운 구조를 세워가는, 일일, 주간, 월간 단위의 과정'이라는 존 F. 케네디 전 미국 대통령의 말을 인용했다.
문 대통령은 또 "한미 양국은 긴밀히 소통하고 조율해 주변국과 국제사회의 지지와 협조를 이끌어낼 것"이라고도 했다. 이어 "당사자인 북한과도 마음을 열고 소통하고 이해하며, 신뢰 구축을 위한 노력을 지속해 갈 것"이라고 했다.
또 최근 한국이 중국 견제를 목적으로 미국이 추진하는 협의체에 불참한 것을 두고 한미 동맹 균열 논란이 일고 있는 것을 의식한 듯 한미동맹의 굳건함을 강조하기도 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 67년간 한미동맹은 더 단단해지고 성숙해졌다"고 평가한 데 이어 "한국의 성취는 미국과 함께 이룬 것이며, 양국은 위대한 동맹으로 더 많은 성취를 이룰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한 문 대통령은 "우리의 동맹은 코로나 위기에서도 빛났다"며 "지금의 위기는 어느 한 국가의 힘만으로 이겨낼 수 없다. 한미동맹의 힘을 다시 한번 발휘할 때"라고 역설했다.
[오수현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