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리 돈이 있어도 살 수가 없다는 해외 명품 브랜드 '한정판', 위조제품 역시 점점 정교해지고 있는데요.
수공예로 제작한 위조품이 '특S급 짝퉁'이라고 불리며 판매됐는데, 주고객인 부유층 여성 소비자들은 짝퉁이라는 사실을 알고도 제품을 구입했다고 합니다.
김문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
해외 유명 브랜드의 정품을 대신 구입해 준다는 인터넷 블로그와 밴드입니다.
'짝퉁 문의는 절대 안 받는다'고 했지만 위장용일 뿐, 실상은 짝퉁 수공예 판매 업체입니다.
회원들은 알음알음 비밀번호를 대고 사이트에 접속했고, '특S급 짝퉁'을 팔고 있다며 자랑하는 채팅 대화가 오갔습니다.
위조제품이라지만 원단 재질이나 색감, 이음새와 로고까지 진품과 사실상 차이가 없어 전문가들조차 구별해내기 어려울 정도입니다.
가입한 고객은 의사와 대학교수 등 2천여 명.
▶ 스탠딩 : 김문영 / 기자
- "H사 가방의 진품 가격은 천만 원을 훌쩍 넘는데요. 짝퉁 가방을 제조해 3백만 원이라는 고가에 판매했습니다. "
국내에서는 1억 원 이상을 내도 대기 명단이 워낙 길어 구하기 힘든 한 가방은 위조품으로는 1,300만 원에 팔렸는데, 모든 짝퉁은 해외 공장에서 '선결제분'만 직접 만들었습니다.
▶ 인터뷰 : 손문갑 / 서울본부세관 조사1국장
- "일반적인 짝퉁은 공장에서 대량으로 생산해서 판매하는 행태이기 때문에 이번 사건은 처음 있는 경우고요. 무엇보다 현지 공장을 단속해야겠다…."
짝퉁을 판매한 남매 일당은 국제우편이나 특송화물로 밀수입했고, 범죄 수익 34억 원으로는 외제차 3대 등을 굴렸습니다.
당국은 해외 세관과 상표권자와 협력해 공급 원천인 해외 제조공장 단속을 추진 중입니다.
MBN뉴스 김문영입니다. [nowmoon@mbn.co.kr]
영상취재 : 임채웅 기자
영상편집 : 박찬규
#MBN #유명브랜드 #짝퉁 #한정판제작 #선결제 #회원제 #MBN종합뉴스 #김문영기자 #김주하앵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