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을 거슬러 올라가면 강원도 영월 서강이 나오는데, 세계가 인정하는 생태 보고로 유명하죠.
그런데 이 지역에 산업폐기물매립지 조성 계획이 발표됐는데, 적절성 논란에 휘말렸습니다.
MBN이 입수한 환경청 보고서에서도 '부적절하다'는 의견을 확인했습니다.
주진희 기자입니다.
【 기자 】
「 한강을 거슬러 올라가면 나오는, 강원도 서강에 있는 한반도지형. 」
2015년 '세계 람사르 습지'에도 등록됐는데, 그만큼 각종 천연기념물이 사는 중요한 보호 대상이란 의미입니다.
그런데 불과 2.5km 떨어진 폐광산에 축구장 26배 규모 산업폐기물매립지를 설치하겠다고 한 기업이 발표하면서 영월이 뒤숭숭해졌습니다.
▶ 인터뷰 : 엄주염 / 지역 주민
- "산업폐기물이 이전했다고 하면 농산물도 파는 데 어려움이 있고, 저희는 마을 식수를 지하수로 해결하고 있어요."
▶ 인터뷰(☎) : 영월군 관계자
- "원주지방환경청의 협의를 요하는 사항이거든요. (환경청) 초안에 대한 의견은 검토하는 중이기 때문에 일반인에 공개할 수 있는 사항은 아닙니다."
MBN이 입수한 환경영향평가보고서 초안에 따르면, 「원주지방환경청은 사업 시행이 바람직하지 않다는 의견을 낸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가장 큰 이유는 이 지역이 물에 잘 녹는 석회암 지대라는 대목입니다.
「"침출수가 지하로 유입돼 습지나 상수원보호에 악영향이 상당히 우려"되며 "광범위한 지하공동"으로 지반붕괴 가능성도 있어 "입지 재검토"를 언급하고 있습니다.」
▶ 인터뷰 : 김경준 / 강원 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
- "똑같은 사례를 가지고 사법부 판단 나온 게 있습니다. 사고 가능성으로 인해서 매립장 개발 행위 자체가 부결되어진 대법까지 간 판례도…."
▶ 인터뷰 : 장철민 / 더불어민주당 의원
- "아주 부적절한 입지라고 생각이 되고, 주변지역 광산에서 또 발파를 계속 하는 지역이더라고요. 그래서 차수 시설이 붕괴되거나…."
석회암 지대가 폐기물매립지로 지정된 적이 한 번도 없어, 영월군이 폐광산 복구 대신 매립을 결정할 경우 파장은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
MBN뉴스 주진희입니다.[jhookiza@naver.com]
영상취재 : 이우진 기자·이동학 기자
영상편집 : 송현주
#MBN #주진희기자 #영월 #한반도지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