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태경 국민의힘 의원은 3일 "문재인 대통령은 친북 아닌 반북"이라며 "북한의 대미 관계 개선과 국제사회 편입을 더 어렵게 만들고 있다"고 지적했다.
하 의원은 이날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문 대통령은) 친북 노선을 추구하는 듯 보이지만 실상은 북한을 더 왕따로 만들고 있다"며 이같이 비판했다.
그는 "이번 서해 사건에서 한국 정부는 결정적 물증 없이 실종 공무원을 월북자로 규정했다"며 "(이는) 북한을 전례가 없는 망명자 총살한 야만적인 전근대 국가로 만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전 세계에서 망명자를 총살하고 소각하는 경우는 전무후무하다"며 "북한의 경우도 월북자 총살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부연했다.
하 의원은 "북한 국내에서 월북자 총살은 반역행위이다. 수령님 품으로 돌아온 사람을 죽이는 것은 수령님을 욕되게 하는 것이기 때문"이라며 "정부가 자기 책임 줄이기 위해 꺼낸 월북론은 희생자를 두 번 죽이고 남북관계도 악화시키고 있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문재인 정부는 코로나19 방역 때문에 실종 공무원을 총살하고 소각했다고 발표했다"며 "총살방역이 사실이라면 정말 충격적이다. 방역을 핑계로 사람을 총살해서 영구격리 처리하는 것은 반인륜범죄"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북한만이 이런 범죄를 저지르고 있다"며 "북한의 코로나19 학살을 우리 정부가 세계에 홍보해준 것이다. 문재인 정부의 이런 입장은 미북관계 개선에도 새로운 장애를 만든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는 "미국은 관계개선의 전제조건으로 핵 문제뿐 아니라 인권 문제를 피해 가기 어렵게 됐다"며 "IS 수준의 반문명적 테러집단으로 전
더불어 "결국 문재인 정부는 우리 국민도 희생시키고 대북관계 개선도 어렵게 만든 것"이라며 "북한은 그동안 문재인 정부가 짝사랑 대북정책 펼칠 때마다 조롱을 보내곤 했는데 다 이유가 있었다"고 덧붙였다.
[이상현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