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 최북단 소연평도 해상에서 실종된 해양수산부 공무원이 북한의 피격으로 사망한 사건과 관련해 정부와 군의 대응을 비판하는 국민청원이 잇따라 등장했다.
지난 25일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 "북한 피격 사망 공무원 사건에 대한 문재인 대통령과 정부의 합리적인 대응을 촉구합니다"라는 제목의 청원 글이 게재됐다.
자신을 서울에 거주 중인 30대 남성이라고 밝힌 청원인은 "문재인 대통령과 대한민국 정부의 책임 있는 언행을 요구하고자 글을 쓴다"며 청원 작성 계기를 밝혔다.
그는 "이번 사건에 대한 정부의 안일한 대응에 너무 화가 났다"면서 "대한민국 국민이 헌법상 대한민국 영토인 북한에서 총에 맞았다. 심지어 월북이라는 확인되지 않은 루머까지 확산하여 사자(死者)의 개인사까지 파헤쳐지고 난도질 되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정말 만에 하나 월북의 의도가 있었다고 치더라도 그게 그렇게 비참하게 '죽어도 싼' 일인가. 월북했으니 정부는 책임이 없다는 거냐"고 반문했다.
이어 "국방부는 사건을 알고도 방관하면서 6시간 동안 자국민을 방치했으며, 대한민국 정부는 해당 사건을 인지하고도 발표를 지연했다. 망자의 시체를 수습하기 위한 어떠한 노력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면서 정부와 군의 대응에 분노했다.
끝으로 그는 "이번 사건은 우리의 생명과 안전에 직결되는 문제다. 정부의 도움이 간절히 필요한 상황이 되었을 때 정치이념과 상황에 따라 버려질 수 있다면, 우리는 이러한 정부를 신뢰할 수 있겠느냐"며 문재인 대통령의 대국민 사과, 종전 선언 철회, 국방부 장관 경질 등을 요구했다.
해당 청원은 28일 오후 1시 기준 2만7200여 명의 동의를 얻었다.
같은 날, 또 다른 청원인은 "국민의 생명을 지키는 게 정부와 군의 제1 의무이자 목표입니다. 국민이 총살당하는 동안 정부와 군은 뭘 한 겁니까"라는 제목의 청원 글을 올렸다.
청원인은 "국민의 생명을 최우선으로 보호하고 지켜야 하는 것이 정부와 군의 의무이자 책임 아니냐"며 "앞으로 이런 일이 생기면 적들에게 그냥 총 맞고 죽어야 하냐"고 했다.
이어 그는 "군 관련자 및 국방부 장관 모두 파면하고, 대통령은 국민 앞에 무릎 꿇고 사과하라"고 요구했다.
이 청원에는 이날 오후 1시 기준 1만7300여 명이 동의한 상태다.
한편 이날 국방부는 북한이 해양수산부 공무원 A씨에게 총격을 가하기 전 구조하려 했던 정황을 포착했다고 전했다. 국방부 관계자는 "상당한 시간 동안 구조과정으로 보이는 정황을 인지했다"며 "그러나 나중에 상황이 급반전되어 대응에 제한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앞서 국방부는 A씨가 실종된 다음 날인 지난 22일 오후 3시 30분경 A
[홍연우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