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가 어제(22일) 4차 추가경정예산안에 극적으로 합의했지만 통신비 지급을 두고 여권 내 결정 과정이 오락가락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애초 4차 추경의 콘셉트를 맞춤형 지원으로 정해놓고서 통신비 지원만 전국민 지급으로 발표했다가, 야권의 거센 반발로 추경안 통과가 막히자 선별 지급으로 돌아섰기 때문입니다.
더불어민주당 이낙연 대표는 8월 말 취임 직후부터 "고통을 더 크게 겪는 국민을 더 빨리, 더 두텁게 도와드려야 한다"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피해에 대한 맞춤형 지원 소신을 밝혀왔습니다.
이후 당정청은 지난 6일 고위 당정 협의회에서 피해가 큰 계층을 우선 지원하는 선별지' 기조를 공식화했습니다.
통신비의 경우 17∼34세와 50세 이상에만 지원하는 방향에 무게가 실렸으나, 여기에서 제외된 30∼40대를 중심으로 정부 정책에 대한 불만이 감지되자 기류가 바뀌었습니다.
9일 청와대 간담회에서 이 대표가 전국민 지급을 건의하고 문재인 대통령이 이를 수용하는 형식으로 '13세 이상 전국민 통신비 2만 원 지급' 방침을 정했습니다.
국민의힘은 "포퓰리즘의 선심성 퍼주기"라며 강하게 반대했고 이재명 경기지사와 김경수 경남지사 등 여권 내에서도 비판의 목소리가 불거졌습니다.
그러나 민주당은 "가계 고정지출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15일 한정애 정책위의장)며 전국민 지급 입장을 유지했습니다.
막판 입장이 바뀐 것은 추석 전 추경을 지급해야 한다는 시급성 때문이었습니다. 어제(22일)가 본회의 처리 데드라인이었습니다. 국민의힘이 반대 입장을 굽히지 않는 상황에서 선택지가 별로 없다는 것이 민주당의 설명입니다.
이 대표도 전날 예결위 민주당 간사인 박홍근 의원에게 협상 재량권을 주며 "유연하게 하라. 야당의 요구 중 받아들일 건 받아들이라"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결국 여야는 이날 통신비 지급 대상을 만16∼34세, 65세 이상으로 좁히고 이를 통해 절감한 예산을 무료 독감 접종 확대(105만 명), 중학생 아동특별돌봄비(1인 당 15만 원)에 쓰기로 합의했습니다.
민주당은 "통 큰 양보이자 협치"라고 자평했지만, 일각에서는 당정청이 '전국민 통신비 지급'이라는 돌발 카드를 꺼내는 바람에 불필요한 잡음을 빚었다는 비판이 제기됐습니다.
한 의원은 "애초에 전국민 지급을 이야기하지 말든지, 이것은 줬다 뺏은 셈 아니냐"라고 지적했습니다.
뒤늦게 이를 누가 주도했는지를 놓고도 설왕설래가 오갔습니다.
애초 전국민 지급을 강하게 주장한 사람이 민주당 김태년 원내대표라는 말이 있었지만, 청와대 최재성 정무수석의 작품이란 이야기도 이날 새롭게 나왔습니다.
여권 관계자는 "
일각에서는 사실상 여권 내에 책임 떠넘기기 양상이 나타난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왔습니다.
청와대 강민석 대변인은 "통신비 관련 최 수석은 당정청 입장을 정무적으로 조율했을 뿐이다.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라고 언론에 밝혔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