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1일 학군(ROTC) 출신 남영신(58·학군23기) 지상작전사령관을 신임 육군참모총장으로 내정해 육군사관학교 출신이 50년 넘게 총장직을 독식해온 관행을 깼다.
육사-비육사 출신으로 나눈 일명 '군내 유리벽'을 허물어뜨린 인사라는 평가도 나온다.
남 내정자는 1948년 육군 창설 이후 72년 만의 최초 학군 출신 총장, 1969년 첫 육사 출신 총장 이후 51년 만에 나온 비육사 출신 총장이다.
육군총장은 제1대부터 제18대까지 군사영어학교 또는 일본군 장교 출신자들이 맡았고, 제19대가 시작인 육사 출신 임명은 육사 1기 출신인 서종철 대장이다. 이후 제48대 서욱 전 총장까지 내리 육사 출신이 독식해왔다.
남 내정자는 국군기무사령부의 마지막 수장을 맡아 기무사 조직 해편 작업을 진두지휘한 후 새로 창설한 군사안보지원사령부 초대 사령관을 맡았다. 이를 계기로 특전사에서 잔뼈가 굵은 그는 뒤늦게 추진력과 개혁적 마인드 등 업무 능력을 인정받았다.
이번 남 내정자의 발탁은 그간 현 정부에서 단행된 파격적 군 수뇌 인사의 연장선이란 평가도 나온다.
송영무 전 해군총장에 이어 정경두 전 공군총장이 국방부 장관으로 발탁됐다. 비육사 출신이 연거푸 국방부 수장을 맡다가 이번에야 육사 41기 출신인 서욱 장관으로 바뀌었다.
남 내정자는 공수부대, 제2작전사령부, 3사단 등 주로 야전에서 근무했다. 국방부와 합참 근무 경력은 없다.
남 내정자와 서 장관은 임관 기수로 동기다. 과거에도 이병태 국방장관과 김동진 육군총장이 동기인 적이 있다. 서 장관은 임관 기수로 한 기수 선배인 원인철 합참의장 후보자, 동기인 남 내정자와 함께 근무하는 상황이 됐다.
남 내정자는 "서욱 전임 총장이자 현 국방장관이 추진하신 '한계를 넘어선 초일류 육군'이라는 비전에 벽돌을 하나 더 쌓는다는 생각으로 임무를 수행하겠다"고 각오를 밝혔다.
한편 남 내정자와 함께 이뤄진 대장 인사에서 육사 43기가 처음으로 별 넷을 달았다. 43기인 안준석 지상작전사령관 내정자는 5군단장에서 청와대 국방개혁비서관으로 발탁됐다가 이번에 대장으로 진급했다.
또한 진급 자리로 꼽히는 합참 작전본부장(중장)이 이번 인사에서 탈락했다. 최근
연합사 부사령관에 내정된 김승겸(육사42기) 육군참모차장은 꼼꼼한 원칙주의자로 통해 전시작전통제권 전환과 관련한 한미 협의에서 능력을 발휘할 것이란 평가도 나온다.
[디지털뉴스국 news@mkinternet.com]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